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설치된 환기구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빠져 나갈 수 있었던 것이지요. 차가운 공기는
밑
으로 가라앉고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현명하게 이용했던 것이지요. 석빙고 주위에 배수구를 설치해 얼음을 녹이는 물과 습기를 재빨리 빼낼 수 있도록 했답니다. 그리고 얼음과 맞닿은 벽과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상하기 16년 전에 발표한 연구결과였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핵폭탄이나 원자력발전의
밑
바탕이 된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데 이어 금속에 빛을 쬐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를 양자이론으로 설명했다. 이 광전효과가 그에게 노벨상을 안겨줬다. 아인슈타인은 이 업적으로 양자물리학의 ... ...
시베리아 메탄가스, 온난화 가속시키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메탄가스가 지구온난화를 급격하게 진행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영구동토층이란 지표
밑
의 온도가 2년 이상 연이어 0℃ 이하인 지역을 말하며 북반구 지표면의 약 24%를 차지한다.시베리아 북부지역은 4만년 전 빙하기 때 수많은 동식물을 가둔 거대한 냉동고다. 최근 몇년 새 기온이 높아지자 ... ...
탐사선'스마트1', 달에 충돌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급속하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에서
밑
으로 향하는 대기중의 전기장 공중 전기장이 있기 때문에 공지전류(空地電流)가 생기게 된다 공중전기장의 크기는 기후에 좌우되며 뇌운(雷雲)이 접근했을 때는 커지고 경우에 따라 전기장의 방향이 ... ...
인터넷 거래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만들어진 석기 1963년에 우리 나라의 북동지방인 함경북도 웅기(雄基) 근처의 패총(貝塚)
밑
에서 구석기시대 문화층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 ...
살아서 숨쉬는 한옥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처마는 뙤약볕을 가려 주고 그늘을 만들어 줍니다. 아무리 햇볕이 강한 여름에도 큰 나무
밑
의 그늘에 들어가면 시원한 것처럼 그늘이 진 방안도 무척 시원합니다. 이런 처마가 없어 뜨거운 햇볕을 그대로 받을 수 밖에 없는 요즘의 양옥은 에어컨을 틀지 않으면 여름을 견뎌 내기가 힘들지요. 반대로 ... ...
화산섬 제주도의 보물6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약 10m 정도 되는데, 암경(용암기둥)으로 분화구 중심부에 해당하고 섭지코지의 등대
밑
부분이 분화구의 가장자리다. 6 섬 속의 섬, 우도제주도에서 가장 큰 섬인 우도는 소가 길에 누워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섬은 전체가 평탄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소머리오름(우도봉)이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라고도 한다실내연주공간에서 발코니 하단을 지칭하며, 소리의 반사를 유도해 발코니
밑
객석과 1층 안쪽 객석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대륙에 쌓인 눈이 오랫동안 다져져 만들어진 얼음층으로 고도가 낮은 곳으로 흘러내린다대륙을 덮고 있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빙상의 일부가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제강법 고로에 철광석(鐵鑛石) · 코크스 · 석회석(石灰石)을 번갈아 넣고, 노(爐)의
밑
부분에 설치한 통풍구로부터 열풍로(熱風爐)를 통해 600℃ 정도로 예열(豫熱)한 공기를 불어넣어 이에 의해 코크스를 태워 일산화탄소를 만들고 철광석을 환원(還元)시켜 철을 만든다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고여 있던 공기가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 날개를 다시 위로 올리면 순간적으로 날개
밑
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는데, 비어 있는 곳을 메우기 위해 주변의 공기가 밀려들어오면 그 힘에 의해서 박쥐의 몸통이 둥실 떠오른다.”그는 날개를 아래로 쳐 공기를 밀어내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