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피라미드 속 비밀의 방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바로 위에 30m크기의 새로운 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이 공간이 무엇인지에
대
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스캔 피라미드 연구팀은 프랑스의 국립컴퓨터과학연구센터(INRIA), 국립과학연구원과 함께 피라미드 내부에 지름 3.8cm의 아주 작은 구멍을 뚫어 로봇 비행선을 들여보낸 뒤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받은 뒤, 국립식물검역소 연구원과국립산림과학원 박사후연수생을 거쳐 2006년부터 상지
대
산림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국내에 분포하는 개미 분류 및 분포 조사연구, 산림해충 조사연구, 항만에 분포하는 유입 외래종 분포 조사 등을 수행하고 있다. myrmicinae@sangji.ac ... ...
[Career] ‘하버드 공
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UNIST 학생들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서 교수는 “UNIST-하버드 공
대
하계 프로그램은 매년 여름방학 진행될 예정”이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UNIST의 우수한 학생들이 외국과 교류하는 한편, 창의적인 연구를 경험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이윤진 이화여
대
입학처장 - “자신의 역량 집중할 전형 찾아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1886년 설립된 이화여
대
는 132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 최고(最古)의 여
대
다. 이화여
대
는 영국의
대
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의 아시아
대
학 평가에서 ... 있는 학생이라면 특기자 전형을 노려볼만 하다”며 “이번에 증가한 정원은 모두 엘텍공
대
에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잔잔한 연못에 돌을 던지면 돌이 빠진 곳을 중심으로 동그란 모양의 물결이 퍼져 나가는 걸 본 적이 있나요? 이렇게 한 곳에서 생긴 진동 ... 건
대
기가 있기 때문이에요. 먼저
대
기에는 산소가 있어서 생물이 호흡할 수 있어요. 또
대
기는 해로운 우주 방사선과 운석 충돌 등을 막아준답니다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강연 일시 : 2018년 9월 6~7일오후 7시 30분~9시 30분장소 : 서울 블루스퀘어 3층 카오스홀참가
대
상 : 중학생 이상 수학동아 독자참가비 : 무료선발 인원 : 6일 50명, 7일 50명신청 기간 : 2018년 8월 31일(금)까지신청 방법 :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해당 게시물에서 신청참가자 발표 : 9월 3 ...
숫자로 보는 2018 러시아 월드컵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여러모로 기존 축구계의 지각변동을 지켜볼 수 있었던
대
회였던 만큼
대
한민국 국가
대
표팀 역시 이번의 아쉬움을 발판삼아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어린이 관객들은 로봇에게 친근함을 느꼈어요. 이번 연극에서 배우로 활동한 서울예술
대
학교 이주연 학생은 “처음에는 소극적이었던 어린이 관객들이 에디를 도와주면서 부터는 애완동물처럼 껴안기도 했다”며 놀라워했답니다. 또한 엄윤설 교수님은 “연극을 녹화한 영상을 통해 어린이들이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
대
세균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박희명 건국
대
수의
대
수의내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견의 야외활동이 상
대
적으로 적고, 또 구충제를 철저히 복용하는 편이라 반려견이 개회충을 해변에 옮길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다만 야생동물이나 야외에서 사는 개들이 옮긴 기생충은 번식할 수 있는 만큼 반려견이나 주인 모두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쾰러 교수는 “피부는 생체 내 미세한 환경을 잘 보여주는 모델”이라며 “동물실험을
대
신해 약물을 시험하거나 피부암 등의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셀 리포트’ 1월 2일자에 실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0년만의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