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d라이브러리
"
날개
"(으)로 총 1,601건 검색되었습니다.
독도는 새똥이 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고양이 울음소리 같이 짖어서 괭이(고양이)갈매기란 이름이 붙었다. 몸길이 약 46㎝,
날개
길이 34~39㎝ 갈매기로 독도의 주인행세를 하고 있다. 5~8월에 둥지를 틀고 한 번에 4~5개의 알을 낳는다.똥은 자원이다!그러나 똥이 더럽다고 욕하지 마라. 예로부터“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는 말이 있듯 ... ...
용을 꿈꾸는 잠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잠자리(Dragonfly)의 커다란 눈은 여러 개의 작은 낱눈이 모여 이루어져 있어요. 이처럼 낱눈이 모여 이루어진 눈을 겹눈이라고 부르지요. 잠자 ... 멈춘 채 비행할 수 있고 방향도 쉽게 바꿀 수 있지요. 잠자리는 좋은 눈과 성능 좋은
날개
를 이용해 하루에 150여 마리의 해충들을 잡아먹는답니다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않게 외울 수 있겠어요. 호랑나비는 크게 확대한 모형이 너무 무서웠어요. 원래 화려한
날개
때문에 좋아하는 곤충이었지만 몸통을 보니까 파리보다도 더징그러웠답니다. 표본관으로 들어가니, 또 다른 큰친구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바로 아틀라스대왕나방이었어요. 대왕이라는 칭호처럼 ... ...
돌아온 로보트 태권V(브이)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날아다니는 로봇이다. 그런데 1982년 슈퍼태권V가
날개
를 달고 나오기 전까지는 어디에도
날개
는 없다. 대신 발바닥에서 불을 뿜어 하늘로 날아오른다. 이건 로켓이 발사되는 모습과 비슷하다.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의 계산에 의하면, 제트엔진을 달고 924톤(전체 무게의 66%)의 연료를 채운다면 ... ...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가축을 죽인다.고향 : 소아시아의 리키아 지방그리핀 그리핀외양 : 독수리의 머리와
날개
, 사자의 몸이 합쳐졌다.특징 : 하늘을 날아다니며 사자의 용맹함으로 황금을지킨다.고향 : 그리스 리파이오스산괴 박사의 분석고대 괴물엔 키메라와 그리핀처럼 서로 다른 동물을 결합한 모습이 많다. 각 ... ...
학생과학발명품대회 대통령상 김진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경기 이곡초등학교 6학년 김진훈 군이 대통령상을 받았어요. 김 군은 모형항공기
날개
의 길이와 높이, 각도를 정확하게 잴 수 있는‘무한도전 모형항공기 측정기’를 개발했어요. 최고의 모형항공기를 만들 수 있는 발명품이지요. 국무총리상은 서울 을지초등학교 5학년고광욱 군에게 돌아갔어요. ... ...
물 위를 나는 배 위그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얼마나해요?전 6인승이에요. 길이 12.5m, 폭 10.5m고요, 높이는 4m랍니다. 배 모양의 동체에
날개
와 엔진이 달려 있어요. 물에서 2~10m 위를 떠서 날아가는데 최고 시속 120㎞로 날 수 있어요.와, 신기하네요. 그런데 물 위를 날아가면 뭐가 좋 은 거죠?땅이나 물 위에서 날면 떠오르는 힘인 양력이 커져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신기하지?내 힘으로 하늘을 날다!타이탄은 짙은 대기에 비해 중력이 낮기 때문에 새처럼
날개
를 달고 힘껏 펄럭이면 하늘을 날 수도 있어. 새처럼 하늘을 날고자 했던 인간의 소망이 실현되는 순간이지.돌고래처럼 뛰어올라 보아요~액체 메탄에 얼지 않는 특수 수영복을 입고 수영을 해 봐. 중력이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붙여 2개의
날개
를 만든다.❸ 수수깡을 15㎝ 정도로 자른 후 한 쪽을 뾰족하게 깎는다.❹
날개
를 수수깡에 셀로판테이프로 붙인다.❺ 수수깡의 가운데 부분에 다른 수수깡을 연결한다.❻ 풍속계가 돌아가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떨어진 곳에 풍향계 수수깡을 시침핀으로 세운다.❼ 수수깡의 뾰족한 ... ...
괴조의 비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공학자들이 컴퓨터를 이용해 연구한 결과 이 새는 자신의 힘으로 날아오르거나
날개
를 펄럭여 공중에 머물러 있지는 못했대요. 하지만 독수리 같은 큰 새처럼 상승기류를 이용해 잠깐 공중에 떠다닐 수는 있었다고 합니다. 이 정도 새라면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은 충분히 태우고 날 수 있었겠죠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