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 ‘빌더’로 더 멋지게, 화려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방법 중 하나예요. 하나의 자료만 저장하는 ‘변수’와 달리 배열은 많은 자료를 한 곳에 저장할 수 있지요. 오늘은 배열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고 게임 속에 적용하는 사례도 알아볼게요. 첫 번째 배열의 사용법을 익혀라!한 단어를 이루는 문자들을 하나씩 배열에 저장하고, 배열에 있는 ... ...
- [만화 뉴스] ‘좀비’ 만드는 세균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곤충은 더욱 쉽게 식물의 수액을 먹을 수 있었고, 파이토플라스마도 곤충을 통해 다른 곳으로 옮겨갈 수 있었죠. 호겐하우트 교수는 “곡물이나 채소가 파이토플라스마에 감염되면 생산량이 크게 준다”며, “이번 연구는 식품 생산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가상 인터뷰] 이족 보행 로봇에 날개가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응용할 수 있을 거라 말했어. 헬리콥터에 다리를 장착하면 경사지거나 거친 곳과 같이 까다로운 장소에 착륙할 때도 헬리콥터가 쉽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거야. 또 고압선 점검, 고층 건물 벽의 페인트칠, 건물 지붕 작업 등 높은 장소에서 해야 하는 위험한 일에 사람 대신 나를 닮은 로봇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유난히 밝게 보이는 천체가 있어요. 밝은 도시의 밤하늘에서도 잘 보인다면, 머나먼 곳의 별(항성)이라기보단 태양 주변을 도는 행성이나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일 가능성이 높아요. 그중에서도 특히 지구와 가까이에 있는 화성이나 거대한 목성이 잘 보인답니다. 예부터 목성은 많은 과학자들의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 ‘빌더’로 더 멋지게, 화려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속도는 에이전트보다 빨라요. 에이전트에 활용되는 ‘블록 채우기’ 명령보다 더 먼 곳까지 블록을 놓을 수 있죠. 이런 장점을 활용해 직각 나선형이 반복되는 모양의 달팽이 등껍질을 건축해 봐요. ➊ 코드작성기에 채팅명령어를 ‘4’로 약속하고, ‘+’를 눌러 변수 ‘num1’을 추가하세요.➋ ... ...
- [특집] 우리 동네 발자국 화석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것 같아요.제가 그래요. 정촌면 화석 산지를 비롯해 진주시에 화석 천연기념물이 무려 4곳이나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야 알게 되었지요. 아는 만큼 그 가치를 이해하고 지킬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더 많은 분이 발자국 화석을 보러 진주를 찾아주셨으면 좋겠어요 ... ...
- [이달의 과학사] 1880년 11월 1일 대륙이동설을 주장한 알프레트 베게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탐사하면서 발견한 ‘중앙 해령’이었어요. 해령은 바다 깊은 곳에 솟은 산맥인데, 이곳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으로 새로운 지각이 만들어지면서 기존 지각을 옆으로 밀어내는 모습이 관찰된 것이죠.이렇게 대륙이동설은 정설이 되었지만, 베게너는 생전 대륙이동설이 인정받는 순간을 볼 수 ... ...
- [특집] 공룡 발자국 1만여 개가 한자리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모습이 눈에 선하죠.”그 말을 듣고 앉아서 발자국을 둘러봤습니다. 백악기 때 여긴 어떤 곳이었을까요?● 수각류 : 이족 보행을 한 용반류 공룡. 티라노사우루스 등 유명한 육식공룡이 속해 있다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천문학과 케이트 휘테커 교수팀은 지구에서 100~12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우주 생성 후 약 30억년 즈음 태어난 6개의 거대한 은하들을 찾아냈어요. 이 은하들은 특이하게도 활발히 별을 만들 젊은 시기에 활동이 멈춰 있었어요. 연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과 전파망원경을 통해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배출돼 온실효과로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아요. 그래서 전 세계 곳곳에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탄소중립을 외쳐요. 탄소중립은 우리가 배출한 이산화탄소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실질적으로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에요. 이를 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