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1,831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단백질 분해 과정은 세포의 노화와 죽음뿐만 아니라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 같은 각종
질병
의 치료와 신약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프로테오믹스, 시스템생물학 같은 최신 연구기법을 도입해 단백질 분해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이는
질병
치료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많은 젊은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 도전해
질병
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노력하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11
과학의 힘으로 해결되고 있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리 머지않은 장래에 RNA를 이용해
질병
을 치료하는 등 RNA 간섭을 통해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패러다임을 여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혁신시킬 것이다.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도 중요한 분야다. “오늘날
질병
을 고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는 망치로 고장 난 시계를 수리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는 독일 ‘슈피겔’ 지의 묘사처럼 기존의 약물치료는 효과에 비해 부작용이 너무 크다. 분자차원, 즉 나노수준에서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인공태반은 태아수술에 꼭 필요하다. 요즘은 의학의 발달로 태아의 선천성 기형이나
질병
을 임신 중에 미리 발견해 분만 전에 치료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태아 심장수술은 분만 후보다 분만 전에 하는 게 결과가 더 좋다는 보고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다. 태아수술 후에는 ... ...
병력 담긴 전자칩 몸 속에
과학동아
l
200411
대면 그 안에 있는 정보를 바로 알 수 있다.칩 안에는 개인이 지금까지 걸린 각종
질병
을 비롯해 치료 내용, 알레르기와 고혈압, 당뇨 등 현재 건강 상태와 위급 상황에서 주의할 점 등 의료와 관련된 정보가 들어간다. 응급실에 갑자기 실려온 환자의 경우 칩을 읽으면 바로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어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11
피를 빨아먹을 때 숙주에게 박테리아를 옮긴다. 이로 인해 사람은 수많은 다양한
질병
에 걸릴 수 있다. 제2의 에이즈로 불리는 라임병도 진드기가 옮기는 병 중 하나다. 에릭슨의 연구팀은 어떻게 이 전파가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고자 진드기에 있는 박테리아에 형광을 입혔다.연구팀은 박테리아에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능력을 갖췄다고 이해하면 쉽다.아라자임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질병
예방제나 성장촉진제로 가축에게 먹일 수 있다. 강력한 항균 항생효과 덕분이다. 단백질 분해 기능으로 각질분해효능이 뛰어나 화학약품을 대신해 얼굴이나 발, 몸의 각질을 손쉽게 벗겨낼 수도 있다.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11
증식하는 동안 여러가지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이에 착안해 과학자 들은 비피더스균에
질병
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단백질 유전자를 삽입하는 연구를 해왔다. 이렇게 조작된 비피더스균을 섭취하면 장에서 삽입된 유전자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필자의 연구팀은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10
충분히 확보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구조 분석이 오래 걸리는 이유다.연구실에서는 주로
질병
을 일으키는 단백질에 주목한다. 지난해 류마티스 관절염처럼 자기 몸을 자기가 공격해 병을 일으키는 B세포 활성화 인자, 고혈압을 일으키는 안지오텐신 변환효소의 구조를 알아냈다. 올해는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