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11
깊은 밤에는 은하수가 높이 뜨지 않는다. 이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의 공전
궤도
가 은하면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다. 천구에 은하수를 그려보면 (그림 2)와 같이, 천구의 적도와 63½°의 각도를 이루는 대원이 된다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111
태양에 접근하는 일과 연관된다. 이때마다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들이 혜성의
궤도
상에 흩뿌려지는데, 이것이 바로 사자자리 대유성우의 원인이 된다.유성우의 예측은 대단히 어렵다. 가까운 예로 지난 1998년 우리나라에서 사자자리 유성우는 시간당 1만개 이상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당시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10
몇번씩 태양을 방문한 혜성은 처음보다 몸무게가 줄고 그 빛을 조금씩 잃지만 혜성
궤도
에 남아있던 부스러기는 또하나의 멋진 광경을 선물한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를 지구가 통과하면서 혜성 부스러기는 밤하늘에 유성이 돼 쏟아져내린다. 이렇듯 혜성은 멋진 꼬리와 유성우라는 두가지 우주쇼를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중심을 회전하는 별들도 마찬가지다. 별의 회전속도는 은하 중심으로부터 거리와 그
궤도
내 별들의 전체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은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눈에 보이는 별의 분포는 급격히 줄어든다. 따라서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별의 회전속도는 줄어들어야 한다.이제 별의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09
밤하늘에서 항상 고정돼 있을까. 그렇지 않다. 지구의 세차운동(자전축이 지구공전
궤도
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어 팽이처럼 뒤뚱거리며 움직이는 현상) 때문에 지구의 자전축 방향이 바뀌고 천구의 북극은 변하며 춘분점도 마찬가지로 변한다. 춘분점은 평균적으로 천구상에서 매년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
과학동아
l
200109
자전축 방향이란 곧 북극 방향을 말하는데, 우리 지구의 경우 (그림2)와 같이 공전
궤도
면에 수직인 선으로부터 23.5°기울어져 있다. 천문학에서는 행성의 경우뿐 아니라 별의 경우에도 자전축 기울기를 이렇게 정의하고 영어 inclination (기울기)을 의미하는 기호 i로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정의하면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08
마그네슘 합금, 니켈 합금, 텅스텐 합금은 물에 뜰 정도로 가벼운 금속에서부터 지구
궤도
를 뚫고 지나갈 수 있는 우주왕복선의 표면을 이루는 것까지 다양하게 사용된다.땜납 대체하는 청정 합금그런데 10여년 전만 해도 합금은 주로 경험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시행착오를 통해 새로운 합금을 ... ...
외계 항성계에서 다량의 물 발견
과학동아
l
200108
NASA)의 과학자들은 지구저
궤도
인공위성인 스와스(SWAS)를 이용해 지구에서 사자자리 방향으로 5백광년 가량 떨어진 ‘CW 레오니스(IRC+10216)’라는 적색거성 주변에서 보통 성운에서보다 1만배나 많은 물을 관측했다고 7월12일자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했다.스와스 팀의 일원인 ... ...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
과학동아
l
200107
그렇다면 태양계의 다른 행성은 어떨까. 금성이나 목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공전
궤도
가 원에 가깝다. 즉 태양과의 거리 변화가 매우 적다. 반면 수성이나 화성의 경우에는 상당히 일그러진 타원형이다. 이런 행성에선 태양과의 거리에 따라 계절이 영향을 받으며, 또 계절에 따라 태양의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07
빛보다 빠른 입자를 찾는다 우후루 이후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X선 망원경을 우주
궤도
에 올리고 있다. 블랙홀의 연구가 단순히 국민의 자존심이나 천문학자들의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선진국들은 도대체 왜 이런 경쟁을 벌이고 있을까. 그 답은 블랙홀과 같은 천체들이 21세기 기초과학의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