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용적
크기
부피
부피가 큼
막대함
거인성
d라이브러리
"
거대함
"(으)로 총 1,13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03
일견 무시무시하게만 느껴지는 방사선 피폭은 육종학 분야에서 이미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인체 방사능 피폭의 유전적 영향인데…편집광적으로 집념이 강하면서도 자신의 연구분야에서는 특출한 재능을 가진 한 과학자가 어느날 실험실에서 방사선에 노출된다. 이 사고로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03
목동자리 아크투루스와 처녀자리 스피카를 잇는 '봄의 대곡선'이 서서히 모습을 나타내는 3월. 이 달 중순에는 달과 금성이 랑데부하는 모습도 관측할 수 있다. 이달의 행성■ 수성의 서방최대이각2월 5일이 동방최대이각이었던 수성은 빠른 속도로 움직이더니 이달 19일에는 서방최대이각을 이루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03
일본이 H2 로켓을 쏘아올림으로써 방송통신위성을 지구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나라는 5개국으로 늘어났다. 이들 '로켓 빅5'는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2월 4일 일본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H2 로켓을 쏘아올렸다. 이로써 일본인 명실상부한 로켓개 ... ...
기초과학 연구의 상징 SSC 건설계획 중지
과학동아
l
199402
거대과학은 사멸하는가. 게놈 계획, 우주정거장(프리덤)과 함께 거대기초과학의 상징물로서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초전도거대가속기(SSC) 건설이 중지됐다. 작년 말 미국 상하양원협의회에서 SSC건설을 중지하기로 결정한 것. 전체 길이 87km 중 14.7km의 굴착공사가 진행되던 상황에서 이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02
어쩌면 가상현실 연구는 인간이 컴퓨터를 고안한 순간부터 시작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산물은 우리가 피부로 느끼지는 못해도 이미 현실화됐다. 가상현실의 과거 현재 미래를 살펴보자.요즘 신문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XX 개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는 일은 그리 어려운 일이 ... ...
화학 - 분자의 질량이 크면 끓는점이 높다
과학동아
l
199401
물질의 성질 중 끓는점은 물질의 내부를 이해하는데 많은 정보를 주고 있다. 끓는점을 이용해 다른 구조와 성질을 갖는 여러 가지 탄소화합물의 내부 사정을 살펴보자.석유 정제 공장에 우뚝 솟아 있는 정제탑은 원유를 끓는점의 차이에 의해 분류하는 장치이다. 분별 증류탑이라고 불리는 이 탑의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12
'오리온 자리의 새로운 별 !'과 같은 천문학에 관한 헤드라인이 요즘와서 흔하게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오리온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사냥꾼 오리온은 죄를 범함으로서 다른 신들에게 배척을 받는다(죄의 종류는 신화마다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아폴로는 전갈을 바다로 보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12
중생대를 풍미했던 공룡들이 세계로 퍼져나가는 데는 당시 대륙분열의 영향이 컸다. 초대륙이 존재하던 시기에 탄생·진화한 공룡들은 걸어서 분포를 확대했다.지구 위에 최초의 대륙이 나타나 오늘날의 대륙과 마찬가지로 분열, 표류 그리고 합체의 사이클을 시작한 이래, 지구 생명의 진화에는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붉은 장미꽃, 검은 말머리 등 다양한 색깔과 형태를 가진 성운들, 수많은 별들이 촘촘히 모여 있는 성단들, 그리고 1천억개의 별들이 모여 이룬 신비한 은하모습을 자세히 관측해보자.해가 서산에 넘어가면서 어느새 밤하늘에는 하나 둘 셋… 별들이 반짝이기 시작한다. 또렷하게 빛나는 별도 있고, ... ...
별들의 탄생과 죽음
과학동아
l
199311
별들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떤 일생을 거쳐 종말을 맞는가. 태양보다 작은 별들은 조용히 사라지지만 거대질량을 가진 별들은 초신성 폭발 후 중성자별을 남기기도 하고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블랙홀을 만들기도 한다. 별들의 일생을 통해 영겁의 우주드라마를 추적해보자.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