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스페셜
"
연구
"(으)로 총 9,980건 검색되었습니다.
돈이 보이는 특허기술 [제2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6.16
사료, 비료 등과 같은 기존의 재활용
연구
를 벗어난 친환경적인 다른
연구
를 고안했다. 바로 '천연 흡습제'인데, 감귤 껍질의 미생물을 발효, 셀룰로스 겔을 제조한 후, 방사선 기술로 멸균과 동시에 내부에 균일한 기공을 형성하여 우수한 흡습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제조된 ... ...
단식의 과학
2014.06.16
메커니즘과 임상 응용’이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이 보인다. 롱고 교수와 미국 국립노화
연구
소 마크 맷슨 박사가 공동저자다. 롱고 교수에게 논문파일을 요청하는 메일을 보냈는데 답이 없어 맷슨 박사에게도 보냈다. 그런데 다음날 두 사람 모두에게서 답신이 왔다. 특히 맷슨 박사는 읽어보면 좋을 ... ...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배대웅 선임행정원은 IBS의 비전을 만드는 일에 참여한 것을 매우 뿌듯하게 생각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기초과학
연구
원(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기초과학
연구
로 인류 행 ...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6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
연구
원(IBS) 뉴스레터 ... ...
아토초 레이저로 원자ㆍ분자의 초고속 현상 밝힌다
IBS
l
2014.06.12
김경택 교수가 레이저 펄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앞으로 김 교수의
연구
그룹은 초강력 레이저로 아토초 펄스를 생성하고 측정할 예정이다. - (주)동아사이언스 ... 기초과학
연구
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6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
연구
원(IBS) 뉴스레터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머리에 깃을 동여맨 고구려 무사가 말에 탄 채로 활을 당기고 있다. 한껏 당긴 시위는 사슴과 호랑이를 겨누고 있다. 잠깐 사이에 저 무사들은 힘들게 잡은 사냥감을 들고 ... 기초과학
연구
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6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
연구
원(IBS) 뉴스레터 ... ...
미래부, 기업부설
연구
소 3만개 기념행사 개최
KOITA
l
2014.06.10
중견기업체다. 미래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제안된 산업계 의견을 수렴하여 기업부설
연구
소의 내실화와 질적 성장 유도를 위한 정책지원에 반영할 계획이다 ... ...
[채널A] “진짜 인간 같다”…인공지능 판정 첫 통과
채널A
l
2014.06.10
부총장(튜링 테스트 조직자) 인간의 지능을 완전히 모방해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연구
역사상 매우 중요한 기념비적인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최근 사람의 표정과 음성을 토대로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대화로봇이 개발됐습니다. [녹취: 페퍼 / 감정인식 로봇] "손사장님! 저와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설필리민 결합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 실제로 골초들은 기저막이 변형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신장질환으로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는 경우도 브롬 결핍이 되기 쉽다. 참고로 브롬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고 신장에서 배출된다. 체내 브롬의 양은 3ppm 수준으로 평범한 식단으로도 충분히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기업뿐 아니라 많은 중소기업에서도 자체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기술 개발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앞으로 열리는 평형수 처리 장치 시장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한편 ‘피지컬 리뷰 레터스’ 4월 25일자에는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일거라는 또 다른
연구
결과가 실렸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물리천문학과 케보르크 아바자니안 교수는 유럽우주국(ESA)의 XMM-뉴턴우주망원경에서 관측한 X선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존재하는 3.5킬로전자볼트(KeV)의 ... ...
이전
924
925
926
927
928
929
930
931
9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