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불필요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양한 면으로 사운드카드를 활용하면서
진
보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라면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용어설명●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우리가 말로 서로간에 대화를 하듯이 전자 악기는 미디라는 언어로 통신을 한다. 원래 미디는 전자 악기간의 통신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부착된 바퀴의 정보를 감지해 이를 컴퓨터(ECU)로 보내 상황판단을 한 뒤 스로틀밸브(엔
진
에 기화연료를 보내주는 곳. 액셀러레이터를 밟는 것은 이 밸브를 열어주는 것이다)를 적절하게 닫아줌으로써 과잉 구동력을 제어하는 것이다.이렇게 되면 운전자가 아무리 액셀러레이터를 꽉꽉 밟아도 차는 ... ...
2. 화장품 아름다움 추구하는 분자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우리의 생활도 한 생명체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이루는 게면을 통해서 이루어
진
다. 또 사회생활도 사람과 사람사이의 계면반응이라고 넓혀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에서의 작용이 원활할 때 아름다운 사회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까.화장품의 궁극적인 목적이 아름다움을 가꾸는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피해는 피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적어도 1백m 이상 떨어
진
꽃밭의 나팔꽃을 대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 대기의 이산화황 농도가 0.03ppm 이상인 날 비가 온 경우 피해가 잘 나타나므로 유의해 본다. (자료3)은 나팔꽃의 피해를 조사할 때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든 표다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하지만 여전히 인류 대다수는 인터넷 가상공간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 선
진
국과 후
진
국, 도시와 농촌, 지식층과 일반대중 등 다양한 갈등구조가 가상공간에도 여전히 남아있다.인터넷 엑스포가 '또하나의 지구' 를 만드는 대역사의 첫걸음이라 한다면 신기술과 볼거리도 중요하지만 차별과 갈등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후
진
국은 이러한 비용을 지불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심해환경 연구가 후
진
국의 심해저 개발 참여를 교묘하게 막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유야 어떻든 심해환경 연구를 통해 환경파괴를 막는 일은 미래의 후손들을 위해서 이뤄져야 할 과제이고, 그린라운드에 대한 대비책이다 ... ...
사라
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발견되는 곳이다. 검은머리갈매기의 행동을 연구하는 경희대 대학원생들이 먼저
진
을 치고 있었다. 아침에 관찰된 새가 3만마리 이상이었다고 한다.검은머리 갈매기와 혹부리오리 뿔논병아리 등 보기 힘든 새들이 많이 관찰됐다. 약간 여유롭게 움직이던 탐사팀은 오후 4시 30분 다시 논산저수지로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약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약의 형태도 무궁무
진
하다. 먹는 약이 가지는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붙이는 약이 나왔고 '약발'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약이 ... 반응을 일으켜 암세포와 특정하게 결합해 약물을 방출한다는 원리다. 이미 많은 연구와
진
전이 돼 있고, 실용화단계까지 도달한 상태이다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흰색의 도재(도자기 원료)를 입혀 보통 치아와 비슷한 색깔과 모양을 만든다.최근에는 빠
진
치아 부위의 턱뼈에 구멍을 뚫어 인공치아를 심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치료 대상자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결코 만만찮은 장벽이 심해에 존재함을 시사한다. 또 다른 추측은 바다가 육지에 비해
진
화과정을 거칠만한 시간이 10억년 정도 더 있었으므로 이것이 바다 깊숙한 곳에 뜻하지 않게 풍부한 생물이 사는 요인이 됐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새롭게 부상하는 분야의 거대한 규모를 염두에 둔다면 ... ...
이전
924
925
926
927
928
929
930
931
9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