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5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을 지키는 5가지 식품? “마늘부터 올리브오일까지”…그 효능은?
동아닷컴
l
2015.01.23
라임이다. 레몬과 라임은 비타민C가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이다. 이 비타민C는 우리 몸
속
에서 독소들이 물에 잘 녹는 성분으로 합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레몬이나 라임의 즙을 짜서 매일 아침 주스 형태로 섭취하면 간 활성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넷째는 ‘대체 곡물’이다. 체중 감량을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보냈다”며 “하루에 서너 번 인격이 바뀐다”고 말했다. 온화한 성격의 차도현(지성)
속
에는 폭력적이고 야심찬 다른 인격 신세기(오른쪽)를 비롯해 7명의 인격이 살고 있다. - 팬엔터테인먼트 제공 ● 편도체와 해마 작은 게 원인일 수도 해리성 정체 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 ...
일회성 아닌 지
속
가능한 진로·인성교육 힘써
동아일보
l
2015.01.22
특히 우수하다고 평가받은 학교 3곳의 교육 프로그램을 들여다봤다. ○ 생활
속
인성교육, 울산 삼정초 울산 울주군 삼정초등학교는 지난해부터 매달 하루를 ‘인성 덕목 데이(day)’로 정해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5월의 경우 ‘효도’를 주제로 ‘감사합니데이’ 날을 정한 것. 학교는 이날 ... ...
비싼 인듐 대신 값싼 은나노선 썼더니 대박!
2015.01.21
- KIST 제공 오 연구원팀은 소금이 들어있는 용액과 은나노 원료물질을 반응시켜 용액
속
에서 은나노선이 형성된 뒤 가라앉게 만들었다. 이 방법을 이용해 만든 은나노선 용액을 스프레이로 기판 위에 뿌리면 손쉽게 투명전극을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 단가도 기존 은나노선보다 10배가량 낮출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큰 머리를 가지고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서 태어납니다. 또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
속
에서 나고 자라납니다. 이것이 진정한 인간을 나타내는 특징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호모 에렉투스는 진정한 최초의 인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출산은 가족과 함께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뇌신호 기술은 당장 실용화되기 어렵지만 전 세계 의료진과 과학자들의 꾸준한 연구는 계
속
되고 있다. 다양한 문제점들이 해결된다면 언젠간 반드시 현실이 될 것이다. 또 뇌신호를 이용한 의사소통 기술은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의 범위를 넘어 우리의 일상생활의 모습도 변모시키는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맞으면 휘청거린다. 이 충격은전자의 운동량을 바꾼다. 결국 측정하는 행위가 위치나
속
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다. 당신이 지갑을 들여다보니 돈이 1만 원 있었다. 뉴턴의 세계에선 당신이 돈을 보는 행위가 돈의 액수를 바꾸지 못한다. 하지만 당신의 ... ...
“그녀가 날 사랑하도록 프로그래밍했나요?”
2015.01.18
오스카 아이작 분)은 젊고 유능한 프로그래머 칼렙(돔널 글리슨 분)을 광활한 자연 풍경
속
에 위치한 자신의 저택으로 불러들인다. 사실 이 저택은 회장의 지하 비밀 연구소다. 네이든은 칼렙에게 이곳에서 보고 들은 모든 사항을 외부로 발설하지 않는다는 조건에 동의하라고 요구한다.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식물학자답게 전 세계에 있는 총 9종의 바오밥나무를 꼼꼼히 연구하고 책으로 펴냈다.
속
씨식물 가운데 가장 오래 사는 식물인 바오밥에게 100년은 어린애 수준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있는 ‘글렌코바오밥’이라고 불리는 나무는 나이가 무려 2000살이다. 저자는 바오밥나무가 건조한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실험실에서 연구할 수 있게 만든 장치다. 보통 랩온어칩을 ‘칩 위의 실험실’, ‘칩
속
의 실험실’이라고 부른다. 이런 랩온어칩을 연구하고 만드는 여성과학기술인이 있다. 그녀는 바로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나노생명화학공학부의 조윤경 교수. 젊음과 열정이 가득한 교정에서 그녀를 ... ...
이전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