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일기. 바람 습도에 따른 온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습도불쾌지수는 여름철 실내가 얼마나 더운지 나타내는 데 사용된단다. 기온과 습도를
이용
하면 불쾌지수를 구할 수 있어. 그런데 불쾌지수는 햇빛이나 바람 등을 고려하지 않고, 체질이나 인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지. 아래의 표를 보면 현재의 기온과 습도가 만나는 점이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유럽·아메리카 북부에 주로 사는 도래까마귀를 관찰했어요. 거꾸로 날기, 물건을
이용
해 갈매기 쫓아내기 등 독특한 생활습관을 발견해 냈지요. 교수님이 발견한 또 하나의 특이한 습성은 바로 속임수를 쓴다는 것이었어요. 도래까마귀들은 한 곳에 먹이를 숨기는 척하다가 실제로는 다른 곳에 ... ...
화성에선 속삭일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대기 중에서 음파가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델을 공개했다. 롱 박사팀은 이 모델을
이용
해 잔디 깎는 기계의 소음은 화성에서 100m 정도 진행하다가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음파는 공기뿐 아니라 물이나 땅 속에서도 전달된다. 음파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분자들이 서로 충돌해야 하기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가공하기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난점이 많다 이 때에 분말야금방법이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다 그리고 구멍이 많이 뚫린 재료(스펀지형 재료)나 여러 재료를 혼합한 복합재료 등의 생산에도 유용하다 주물가공이나 기계가공 도중에 버려지는 쇳가루, 쇳밥 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도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분광기를 우주로 가지고 가자고 제안했다.한서대 조용진 교수는 등고선 촬영장치를
이용
해 무중력 상태의 한국 우주인 얼굴의 변화를 알아보자고 주장했다.최기혁 항우연 우주인사업단장은 “우주실험은 크게 교육용 실험, 순수과학실험, 산업 관련실험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며 “아직까지 ... ...
지방흡입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쏘면 세포가 터지면서 지방이 배출된다. 지방은 림프관을 통해 흐르면서 에너지로
이용
되거나 소변으로 배출되며 담즙을 만드는데도 쓰인다.- 장점:정확성이 높다. 지방세포 외에 혈관이나 다른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피부를 절개하거나 흡입기를 쓰지 않기 때문에 멍이 들지 않고, 시술 ... ...
1. 너희가 섹스를 아느냐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6 먹는 피임약(호르몬제)은 관계 갖기 하루 이틀 전에 먹는다.7 관계 뒤 임신진단시약을
이용
하면 임신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8 자궁 안으로 들어온 정자를 죽이는 살정제는 관계 직후 질에 넣어야 한다.9 응급피임약은 처방전 없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10 응급피임약은 임신을 확인한 뒤에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를 위해 콜로라도스프링스에서 고전압 실험을 했다. 이 과정에서 테슬라는 액화공기를
이용
해 코일의 저항을 줄이는 기술과 절연 기술의 특허를 획득했다. 테슬라는 전세계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명목으로 투자자 모건에게 자금을 받아 무선전력 송신탑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 ...
내 몸에 꼭 맞는 재료 설계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많지만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김 교수는 세계 최초로 준결정을
이용
한 ‘마그네슘 고강도 경량합금’을 개발했다.김 교수는 이런 연구개발의 성과로 국제특허 4편, 국내특허 15편을 출원하고 해외 저널에 15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준결정 및 ... ...
다이빙 선수의 우승비결은 공명?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높은 건물이나 낮은 건물은 멀쩡했다.다이빙 선수는 다이빙보드의 탄성을 최대한
이용
해 높이 뛰어오르려고 한다. 다이빙보드는 끝에서 약 1/3 되는 지점이 받침점으로 고정돼 있다. 다이빙 선수는 달려가면서 뛰어오르기 전까지 보드를 따라 빠르게 세 걸음을 밟는다. 이때 받침점을 지나면 ... ...
이전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