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군인에게 수학은 필수 무기!”우리나라는 육군, 공군, 해군이 있고, 각 군대의 지휘관인 장교를 양성하기 위한 사관학교가 있다. 세 곳의 사관학교에서는 모두 수학을 배우는데, 수학과가 있는 곳은 육군사관학교가 유일하다.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박석봉 교수부장을 만나 실제 군사 기관에서 배 ... ...
- 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 1946년, 헝가리의 화폐 펭괴가 길거리에 버려진 모습.전쟁을 대비하고 치르는 것도 문제지만, 전쟁이 끝나고 난 후에 발생하는 문제도 심각하다.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는 물론이고, 전후 처리 비용만 해도 천문학적이다. 전쟁을 누가 먼저 일으키느냐에 상관없이 전쟁에 패배한 나라는 패배한 죄 ... ...
- [과학뉴스] 종양생물학 (Tumor Biology)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최근 ‘종양생물학’에 게재된 논문 107편이 무더기로 철회돼 화제다. 세계적인 의학, 과학 전문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는 4월 20일 성명서를 통해 2012~2016년 종양생물학에 중국 기관이 게재한 논문 107개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스프링거 측은 이들 논문이 가짜 e메일을 이용해 심사의견을 허 ... ...
- [과학뉴스] 기계연, 움직임 자유로운 발목형 로봇 의족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저렴하고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발목형 로봇의족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개발한 발목형 로봇의족은 1.4kg으로 실제 발목과 비슷한 무게지만, 바닥을 차는 힘은 세계 최고 수준까지 구현됐다. 발목 관절은 30°까지 움직일 수 있다. 가격은 1500만 원 정도로 시중에 판매되는 로봇 ... ...
- [과학뉴스] 색 분류 능력은 타고나는 것?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노랗다, 샛노랗다, 누렇다, 누리끼리하다, 노릇노릇하다, 누르스름하다. 한국은 색에 대한 표현이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일본의 경우 녹색과 파란색을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는다. 이처럼 어떤 문화에서는 색을 세밀하게 구분하는 반면, 관련 어휘가 단출한 나라도 있다. 하지만 색을 분류하는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흔히 인간의 후각 능력은 동물에 비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뇌 전체에서 후각신경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크기(비율)가 다른 포유동물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존 맥간 교수는 최근까지 나온 후각 관련 논문 101편을 분석해서 통념을 뒤집는 결론을 얻었다.맥간 교 ...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미국 공군이 운용 중인 무인 우주비행선 X-37B가 718일간의 우주비행을 마치고 5월 7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네디우주센터로 귀환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용한 우주왕복선을 연상케 하는 이 우주비행선은 길이 8.8m, 무게 5t으로 우주왕복선의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극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물에 포함된 철 성분이 산화하면서 빨갛게 보이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지만 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어디서 흘러오는 지는 미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고인류 ‘호모 날레디’가 예상보다 훨씬 최근에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모 날레디는 2013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인근의 라이징스타 동굴에서 처음 발견된 고인류다.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 리 버거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 존 호크 교수 등 공동연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14년 전, 라이트형제가 만든 인류 최초의 비행기는 1인승이었다. 그동안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지금은 수백 명이 탑승하는 2층 항공기까지 개발됐다. 하지만 항공공학자들은 다시 작은 비행기를 꿈꾸고 있다. 물론 단순히 과거로 회귀하는 것은 아니다. 마치 자동차처럼 누구나 하나쯤 가질 ... ...
이전922923924925926927928929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