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로"(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창희 前 의장, 스위스 로잔공대 총장과 KAIST 명예박사 수여2016.02.17
- 학위를 수여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강 전 의장은 다양한 과학기술 정책을 혁신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그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상용기술 발굴, 기술 벤처창업 지원,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국가표준 채택, 원자력 기술발전 등에 공헌했다. 강 전 ... ...
- [2013년]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2016.02.12
- 그 정도는 일반상대성이론으로 계산한 결과와 정확히 일치했다. 헐스와 테일러는 이 공로로 199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 구름만 지나가도 잡음 생겨 1990년대 들어서 다른 방식의 중력파 검출 계획이 시동을 걸기 시작했다.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한 방법이었다. 이 방법을 쓰는 검출기는 ... ...
- 일진상 조환익-박진배씨, 해동상 김종득-이영완씨2016.01.29
- 공학교육혁신 부문 수상자인 김 교수는 고등학교 과학·공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해동상 공학기술문화확산 부문 수상자인 이 기자는 과학기술 성과와 현장 이야기를 널리 알려 수상자가 됐다. 일진그룹 산하 일진과학기술문화재단이 후원하는 일진상은 기술정책 진흥 및 ... ...
- ‘인공지능의 선구자’ 마빈 민스키, 그는 누구인가2016.01.27
- 아니라 인지심리학, 뇌과학, 컴퓨터과학 등에도 크게 기여했다. 1970년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컴퓨터과학계 최고상으로 여겨지는 ‘튜링상’을 수상했다. 그 밖에도 민스키 교수는 피아노를 연주하거나 작곡을 하는 음악가, 철학자, 교육학자로도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 ...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환경 보호 위해 1500만 달러 기부동아닷컴 l2016.01.22
- 나섰다. 그는 이날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에서 환경보호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상을 받기도 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다보스포럼에서 “15년 전 오늘, 나는 지구의 환경 문제를 위해 LDF(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파운데이션)을 설립했다. 현재 40개국, 70개의 회사들과 ... ...
- 주기율표에 숨은 과학 선진국들 ‘이름 전쟁’2016.01.22
- 원소 '시보귬(Sg)'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1951년 인공원소 합성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글렌 시보그는 1997년 106번 시보귬(Sg)에 자신의 이름을 붙였는데, 이후 IUPAC는 논란을 피하기 위해 살아 있는 인물의 이름은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113번 원소에 발견자인 ... ...
- 박제균 KAIST 교수, 제11대 한국바이오칩학회장 선임2016.01.14
- 조직 판별용 랩온어칩을 개발한 전문가로 지난 10여 년 간 바이오칩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센서와 바이오전자(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랩온어칩(Lab on a Chip)’ 편집위원과 마이크로시스템 기반 분석과학 학술 행사인 ‘마이크로타스(μμTAS) 2015 ... ...
- [춤추는 과학자들] 1971년 대박친 리보솜 춤을 아십니까?과학동아 l2016.01.05
- 학교 잔디에서 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버그 교수는 DNA 조합기술을 최초로 개발한 공로로 198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유전공학 분야 세계적인 권위자다). 버그 교수는 2010년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들이 나를 놀리고 있거나 아니면 미쳤다고 생각했다. 돈도 돈이었지만 그땐 대학 ... ...
- ‘기후의 수호자’부터 ‘명왕성 사냥꾼’까지2015.12.27
- 일으키는 유전자를 잘라내 정상 유전자로 바꾸는 인간 배아 유전자 교정에 처음 성공한 공로로 10인의 과학자에 선정됐다. 이 연구는 생명 윤리 논란에 휩싸이긴 했지만 이론적으로는 유전적으로 교정된 인간 배아를 자궁에 착상시키면 특정 질환에 걸리지 않는 아이를 낳을 수 있어 난치성 유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 라몬 이 카할 이후 대뇌피질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며 마운트캐슬의 공로를 인정했다. 마운트캐슬은 학과장을 비롯해 여러 학회지의 편집장 등 행정업무도 많았지만 아침 일찍 출근해 모든 업무를 오전 9시까지 끝내고 실험실로 출근했다고 한다. 그에게 일주일에 60시간을 일하지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