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디에 쓰이는지 알면 깜짝 놀랄걸! 수학재밌데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12. 중학교 수학만 알아도 예측 문제 풀 수 있다? 이석훈 산업수학전문위원은 이날 모인 학생들에게 중학교 수학이 산업 현장의 문제에 답을 얻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강조했습니다. ‘1차 함수’와 ‘평균’만 알맞게 쓸 수 있으면 제조업체의 불량품 변화량과 주식 가격 예측,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200억 년을 1분 이내로 줄이는 방법 수를 읽기 힘들 정도로 많은 가짓수에 놀란 학생들에게 오일러는 좀 더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중간 합을 구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맨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경로를 찾는 방법이다. 트리의 세 번째 줄부터 시작해보자. 2에서 아래로 ... ...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같은 환경과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나는 다른 유학생보다 그런 기회가 부족한 사람일 것이다. 그래도 특별한 구석이 없는 내가 이렇게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다. 앞으로 내가 어떤 길을 걷게 될지는 아직 모르지만, 계속 꿈꾸다 보면 조금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현상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당시 탄자니아의 한 중학교를 다니던 에라스토 음펨바라는 학생이기 때문이다. 음펨바는 조리 수업 중 아이스크림을 만들기 위해 우유와 설탕을 섞어 끓인 용액을 식히지 않고 냉동실에 바로 넣었는데, 식혀서 넣은 친구들의 것보다 더 빨리 얼었다. 음펨바는 고등학교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나열을 넘어서 풍부한 정보를 담아냈다.한편 올해 AI 월드컵은 번외 경기로 초·중·고등학생이 참여하는 ‘AI 주니어 월드컵’도 동시에 진행됐다. 여기에는 전국에서 18개 팀이 참여했다. 김 교수는 “청소년들이 AI 기술을 친숙하게 느끼게 하고 싶었다”면서 “KAIST가 출전팀에 제공하는 기본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경험도 했다. 화학과 미술 재료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수업이었는데, 두 학년 아래 학생들과 미술 작품을 만들면서 3주간 캠프처럼 함께 생활해 즐거웠다. 방학은 정말 보내기 나름이다. 여름방학이면 늘 연구에 매진했지만, 틈틈이 다른 사람들과 여가를 보내면서 매년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스틱을 엮어 만든 것이에요. 지난 2017년 6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네이틱 고등학교 학생들이 힘을 모아 세운 기록이지요. 이날 메이커 스쿨에 참여한 기자단 친구들도 힘을 모아 스틱 폭탄을 만들었어요. 처음에는 나무 막대를 교차하는 방법이 조금 헷갈렸지만, 집중해서 약 300개의 나무 스틱을 ... ...
- [10대의약] 올바른 인공눈물 사용법 안구건조증과학동아 l2019년 11호
- 3시간 이상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안구건조증 발생률이 54.5%이며,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학생의 71.4%가 안구건조증을 경험했습니다. doi: 10.3341/jkos.2017.58.4.387 장시간 전자기기의 화면을 보면 눈 깜빡임이 줄어들어 눈이 쉽게 건조해집니다. 특히 청소년은 하루에 2시간 이상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 ...
- [중국유학일기] 기말고사가 가장 중요 족보 집중탐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봄)’ 등으로 쓴다. 즉, 슈아티는 인쇄로 찍어내듯 문제를 몰아서 푼다는 뜻이다. 중국 학생 대부분이 문제를 몰아 풀면서 그동안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시험에 대비한다. 중국 대학의 시험 기간 분위기는 한국의 수험생들과 비슷하다. 그렇게 해야 시험을 통과할 수 있고 졸업도 할 수 있다. 평소에 ... ...
- 2019 제주수학축전에 빠져들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자원봉사자만 수백 명에 달하는 거대 행사로 발전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교사와 학생이 먼저 행사를 자발적으로 시작하고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에서도 벤치마킹하는 우수 사례로 꼽힌다. 1회 때부터 함께한 김영관 제주 세화중학교 교감은 “20년 동안 해오면서 부담 갖지 말고 편한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