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흑산도로 옮긴다. 현재 흑산도 흑산면 진리 배낭기미 습지 일대에는 센터가 옮겨 들어갈 2
층
짜리 신축 건물 공사가 한창이다. 새로 마련된 센터에는 그간 공간 부족으로 한 사무실에서 해결해야 했던 여러 연구들을 나눠서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철새의 계통을 연구하기 위해 꼭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별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식물 바로 위에 조명이 설치돼도 별 문제가 없다. 보통 건물 한
층
높이에서 7단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이유다. 이곳에서는 한꺼번에 최대 1만 5000 개체의 채소를 키울 수 있는데 연중무휴로 작동된다. 이 정도 양을 일반 온실에서 재배하려면 10배 정도 넓은 면적이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퇴적물이 쌓이고 사암과 역암
층
이 형성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벙글벙글의 암석
층
을 유심히 보면 빨갛고 검은 줄무늬를 두르고 있다. 이는 샤크 만에서 봤던 시아노박테리아와 관련이 있다. 빨간 부분은 사암 속에 포함된 철 성분이 대기 중의 산소와 만나 산화된 흔적이고, 검은 부분은 ... ...
세계 최고
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내가 피라미드를 만들 때 썼던 지렛대의 원리랑 비슷한 건데 말이야.러고 보니 최고
층
건물의 비밀이 특별한 게 아니라 내가 아는 것에서 한단계 발전시킨 것들이로구먼! 콘크리트에 들어가는 시멘트나 크레인이 평형을 유지하는 원리도 내가 피라미드를 지을 때부터 알고 있었거든. 동양에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한다. 그나마 지금 확보한 활성단
층
지도도 완벽한 것이 아니어서 정부는 현재 원전 주변 지역을 전면 재조사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내진 설계가 적용되기 전에 지은 건물에도 안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오래전부터 나온다. 실제로 ... ...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www.dongaScience.com/essay우편접수 120-715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3가 139번지 동아일보사 16
층
동아사이언스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담당자 앞●문 의 : (02)3148-0752●접수기간 : 4월 23일(금)까지 큰그림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27일 남위 74° 45′, 서경 136° 48′ 서남극 케이프벅스 인근 해상.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6
층
조타실은 쇄빙시험 준비로 분주했다. 김현율 선장이 지시를 내리자 조타수가 목표지점을 지정하고 추진기의 출력 레버를 올렸다. 배 앞뒤로 장착된 추진기의 방향이 자동으로 바뀌며 눈앞에 보이는 얼음을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0개를 조사해야 1개 발견할 정도로 찾기 힘든 것이 사실이에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이런
층
이 겹쳐 쌓이면서 자랐기 때문에 단면에 나이테 같은 예쁜 무늬가 있어요. 그래서 과거엔 장식용 돌로도 많이 쓰였답니다. ▲ 여러 가지 미화석. 중국 남부 지방에서 발견된 6억 년 전 배아(➊). 4억 2000만년 ... ...
왜 4를 싫어하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니 조심해.2 많은 병원과 빌딩에서 4
층
을 F로 표시해. 심지어 3
층
다음에 4
층
없이 5
층
이라고 쓰는 건물도 있지.3 올해 발사될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5호. 내년엔 아리랑 3호가 발사될 예정이야. 2012년 발사예정인 아리랑호는 4호 대신 3A호라는 이름이 붙었어. 통신방송위성인 무궁화호도 3호 . ...
포장지 안 뜯고도 선물 미리 본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여기에서 ‘전달 행렬’이라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산화아연
층
을 빠져나온 빛을 측정해 그 뒤에 있는 물체의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불투명한 물질도 투명한 렌즈와 비슷하게 다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