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관련된 부위로 체온을
조절
하고 배고픔이나 피로 등과 관련해 호르몬 분비를
조절
합니다. 특히 긴박한 상황에서 몸을 긴장상태로 만드는 ‘투쟁-도피(fight or flight)’ 반응과 연관된 부위이죠.예측 불가능한 간지럼웃음이 나는 간지럼은 촉감이 전부일까요. 지금 실험을 하나 해보죠. 자신의 손으로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모드로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에디슨도 마찬가지다. 실제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절
해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할 수 있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고등부 대상을 받은 윤영준 씨(18․연구 당시 부산고 3학년 재학)는 에디슨을 이용해 초음속과 아음속에서 전투기의 비행효율을 높이는 에어포일 ... ...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향후 m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이 세포 주기
조절
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은 ‘몰레큘러 셀’ 온라인판 5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분포돼 있는지 알아내고, 만약 미세먼지 덩어리가 발견되면 이를 알려 비행기의 고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크로퍼드 연구원은 “대기오염을 효율적으로 줄이려면 현상을 정확하게 진단해야 한다”며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조사와 연구가 선행돼야만 정책을 결정할 때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십 분이 걸렸다.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른 생체신호에 대한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
해 주는 인공지능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MISSION 4사람보다 더 사람처럼 보이기사이보그는 흔히 몸 여기저기에 금속과 전선을 매단 사람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현실로 드러나는 지금,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달리 농업 분야에서는 농민들의 자발적인 실천에 의지할 수밖에 없어 질소화합물 배출량
조절
이 쉽지 않다.대안은 결국 소비자들의 관심과 실천이다. 김용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산업체에서 질소화합물 배출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과 실천도 무척 중요하다”며 “예를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것이다.실제로 코티솔과 ACTH 과분비는 우울증 및 만성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으며, HPA 축
조절
장애는 우울증 환자의 폭력성 및 자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앙그릴리 교수팀의 실험에서도 혈장 내 ACTH 농도가 정상보다 높은 자녀살해 여성 6명 중 5명은 우울증상을 나타냈다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결정합니다.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아도 자동차가 알아서 속도를
조절
하는 겁니다. 덕분에 앞 차가 갑자기 도로 위에 멈춰서도 사고가 나지 않습니다.이런 무인자동차의 핵심기술은 인공지능입니다. 지난 3월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뜨거웠던 승부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어느 ... ...
[과학뉴스] 옥시토신 스프레이로 식욕 억제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때도 없이 솟구치는 식욕을
조절
하는 데 옥시토신 스프레이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종합병원 프라지스카 플래소 교수팀은 옥시토신 호르몬을 코로 흡입할 수 있는 스프레이를 개발해 23~43세의 비만 남성 10명에게 실험했다. 음식 사진을 보고 식욕을 느끼는 정도를 ... ...
[과학뉴스] 코끼리주둥이고기의 어안 렌즈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기존보다 네 배 이상 빛에 민감했다. 기술적으로 렌즈를 바꾸거나 센서의 감도를
조절
하지 않고도 빛에 대한 민감도를 높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행성 탐사나 복강경 수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