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각
잠시
짧은시간
d라이브러리
"
잠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아마도 지구 어느 곳이나 똑같은 모습일 거예요. 하지만 궁금하다면 가 보죠.
잠깐
이면 가서 볼 수 있는 곳인데요, 뭐.”선장의 말대로 우포늪 또한 폐허가 되어 있는 건 마찬가지였다. 지구에 사람이 살기 훨씬 전부터 살았다던 우포늪의 각종 곤충과 꽃과 풀들벼리는 어린 시절 보았던 우포늪 ... ...
조직의 우두머리 조달호 vs새로운 세력 곰바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그 뒤로 원숭이학교의 학생들이 늘면서 지금은 1백여 마리가 살고 있답니다. 여기서
잠깐
원숭이학교의 베스트 5를 소개해 볼까요? 원숭이학교의 넘버원은 당연히 조달호예요. 대장답게 무리를 이끄는 힘이 있지요. 두 번째는 츠요시. 조달호와 함께 왔는데 이름을 아직 바꾸지 못했다고 해요. 그 ... ...
그림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모든 단서를 만족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그럼 어떻게 된 것일까? 여기서
잠깐
~! 썰렁 홈즈가 처음부터 의심했던 인물은 바로 정원사 짜르나무 또짜르스키였다. 평소 주인에 대한 감정 좋지 않았던 정원사는 일부러 그림을 훔쳐서 골탕을 먹이려 한 것이다. 또한 썰렁 탐정의 능력을 시험해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잔상이 엉켜 연속그림을 제대로 볼 수 없다. 플립북이나 영사기의 공통점도 아주
잠깐
동안 그림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림을 차단해 앞의 잔상을 제거하지 않으면 잔상이 서로 섞여 일련의 동작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따라서 플라스틱컵 앞에 슬릿을 놓으면 앞 그림의 잔상을 제거하기 위한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늦잠을 잘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학생은 쉬는 시간에, 직장인은 점심시간 후에
잠깐
자는 잠은 꿀맛 같다. 하지만 운전 중에는 단 몇초 동안의 졸음이 자칫 끔찍한 대형사고를 초래하기도 한다.우리는 대부분 수면부족을 호소하면서도 잠자는 시간을 줄이려고 하는 이중성을 보이는 경향이 ... ...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갈 수 있는 데가 없잖아. 그럼 오빠가 피서지를 정해봐.모험이 : 슬기야, 화내지 말고
잠깐
만 있어봐. 내가 근사한 피서지를 생각해볼게. 길도 막히지 않고, 사람들도 없고, 남들과는 차별되는 색다른 피서지라면….슬기 : 흥, 그런 피서지는 이 지구상에는 없을 걸?!모험이 : 지구상에는 없다고? 맞아,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칭화대는 공부를 많이 시키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고향집에는 1년에 두차례 방학 때
잠깐
찾아보는 정도지요.”양쯔강 유역인 후난성(湖南省)에서 왔다는 멩롱(孟龍)씨의 말이다. 이번에 전자공학과 석사과정을 마치는 멩롱씨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전 일본 회사 소니에 취직했어요.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 없다. 다만 기술된 내용을 보고 진도를 추정할 뿐이다. 용어상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잠깐
지진의 ‘규모’ 와 ‘진도’ 의 차이를 살펴보자.지진의 규모란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알려준다. 리히터 규모의 경우 1이 증가하면 에너지는 30배정도 크다. 따라서 규모 5.2의 지진은 규모 3.0인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정수가 존재함을 증명하라는 매우 까다로운 요구를 했다.포사는 먹던 것을 멈추고
잠깐
생각하더니 한 문장으로 간단하게 멋들어진 증명을 하는 것이 아닌가. 에르도쉬는 포사의 수학적 재능에 감탄해 그때부터 우편으로 질문을 보내면서 그래프이론과 조합론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후 포사는 1 ... ...
동물도 눈치로 단어 배운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처음 사본 것이다.“아보카도를 갖고 오렴.”3살짜리 아이는 엄마의 말을 듣고
잠깐
머뭇거리다 처음 본 과일인 아보카도를 집는다. 이처럼 새로운 이름을 낯선 대상에 연결시켜 어휘력을 늘리는 과정을 ‘재빠른 연결짓기’ (fast mapping)라고 부른다.그런데 이런 단어습득력이 인간만의 능력이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