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학
화학
d라이브러리
"
자연 과학
"(으)로 총 4,4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털매머드는 빙하기에 딱 맞아!털매머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매머드가 살았던 시기는 약 285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이어진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예요. 이 시기 후반부는 또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답니다. 바로 ‘빙하기’지요.지금은 평균 기온이 영하에 머무르는 북극과 남극, 그리고 그 부 ... ...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유전자가 있으면 매머드를 다시 만날 수 있다?멸종한 동물의 유전자를 현재 살아 있는 동물의 유전자에 끼워 넣어 멸종한 동물을 되살리려는 연구가 늘고 있어요. 그 가운데서도 털매머드는 가장 먼저 복원될 가능성이 높은 동물로 꼽혀요.털매머드 화석이 가장 많이 발굴되는 시베리아에는 1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거리는 지구까지 거리의 5만 배 정도다.
과학
자들은 ‘너의 이름은’의 혜성처럼 지구로 ... 바탕으로 함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 뉴턴이
자연
현상을 분석하면서 사용했다. 슈메이커-레비 제 ... 복합적으로 작용해 쪼개졌을 것이다.우리는
과학
시간에 중력이 내 몸의 한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 ...
[
과학
뉴스] 지중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생물종을 위기에 빠뜨릴 것이라고 전망했다.텔아비브대 스테인하트
자연
사박물관의 벨라 갈리 박사는 “수에즈운하가 2015년에 확장되면서 외래종의 침투가 더 빨라지고 있다”며 “
과학
적 근거를 바탕으로 해양세계의 외래종 침투를 최소화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연구한 결과 뒷받침됐다면, 집단 선택론 설명은
자연
히 기각된다는 것이다.요약하자. 조지 윌리엄스는 ... 만든다는 사실을 확립했다. 적응에 대한 엄밀한
과학
적 탐구를 기능하게 한 그는 ‘적응과
자연
선택’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나는
자연
선택 이론이 빛이요, 길임을 확신한다(280쪽)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설계하는 일이 훨씬 수월해졌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에는 미래창조
과학
부가 선정하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꼽혔다. 3537개의 ... ‘있는 것이란 아무 것도 없는 곳’이라는 뜻으로 세속에서 벗어난
자연
그대로의 공간을 의미한다.서울대 공대 39동 앞에 있는 이 건물은 서울대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무지개 산이 있어요. 이 단하 지형들은 독특하고 경이로운
자연
경관으로 인정받아,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됐답니다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아시아 대륙 전체를 호령하던 털매머드들이 갑자기 멸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
자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졌기 때문이에요.약 1만 4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은 20년에 약 5℃씩 빠르게 올라갔어요. 그 결과 대륙을 덮고 있던 두터운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떠나보자.이산수학★ 실수처럼 연속적인 성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정수,
자연
수처럼 값이 띄엄띄엄 있는 대상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포켓몬GO는 가장 ... 구현한 사례가 있다. 아베 데이비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컴퓨터
과학
과 연구원은 ‘다이나믹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한 포켓몬GO의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조사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미국 필드
자연
사박물관의 필립 헥 박사는
과학
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린나강 퇴적층은 퇴적 속도가 느린 먼 바다에서 생성돼 입자가 강하게 응축돼 있다”며 “우주에서 온 미소운석이 희석되지 않고 남아있기 좋은 조건”이라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