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의 희귀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역귀과 식물로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잎의 윗면은 짙은 녹색이며 꽃은 밀생하면서 타
원형
을 이룬다.자주빛이 돋는 붉은색으로 매달리는 꽃이 방울종을 연상케 하는 게 가솔송이다. 가솔송은 상록의 작은 관목으로 높은 산에 자라는 아름다운 철쭉과 식물, 일본의 고산지대, 만주 북유럽과 ... ...
광통신(光通信)의 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전부 반사시키며 이와같은 전반사가 계속적으로 일어나 빛이 전파된다.실제로 광섬유는
원형
으로 되어 있으며 중심의 굴절률이 큰 부분을 '코어'(core)라 하고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굴절률이 작은 매질을 '클래드'(clad)라 한다. 또한 실용화 되고 있는 광섬유는 코어 부분의 굴절률 분포가 클래드에 ... ...
경험적 지식을 활용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우리는 가장 전형적인 모습의
원형
을 갖고 있다가 어떤 특정한 물체를 보았을 때 그
원형
과 얼마나 부합되는 가를 살펴서 판단한다는 것이다.프레임을 처리하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부합에 의한 방식이다. 즉 원하는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 프레임과 부합되는 프레임을 찾는다. 프레임도 의미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이치다. 그러나 오늘날의 울릉도 모습은 풍화작용 침식작용 등으로 많이 깎여 나가는 등
원형
이 달라져 있다.눈과 바람의 고장독특한 지형 못지 않게 기후조건도 특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와 함께 해양성기후의 특징을 나타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다. 가장 추운1월의 ... ...
곧 「인공 씨앗」이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일종입니다. 사람의 세포 하나를 가지고는 개체를 만들 수 없지만 식물의 경우는 세포의
원형
질을 칼루스로 만들고 이것을 배양해 개체로 만드는것이 가능하지요. 또 두 종(種)을 가지고 전에 없는 잡종을 만들 수도 있읍니다."-구체적인 연구분야를 소개해주시죠."크게 5가지로 나눠볼 수 있읍니다. ... ...
한국의 자동차공업기술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들여오고 있는 실정이다.이들 주요부품의 설계능력이 없다 보니 자연히 부품을 만드는
원형
이 될 금형(金型)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엑셀이 미쯔비시 미라지엔진을, 르망이 서독 아담오펠사의 카데트엔진을,Y카가 마쯔다 것을 각각 도입하거나 변형해서 쓰고 있는게 그 좋은 예다.금형은 고도의 ... ...
하드웨어 개발이 과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연속생산이 가능한 발효조가 필요하다. 현재 사용하는
원형
발효조와는 전혀 모양이 다른 발효조가 있어야 한다. 마치 스파게티 같이 속이 빈 섬유 다발이 가득 찬 지름 수cm, 길이 수m 가량의 투명한 플라스틱 뷰브 모양의 발효조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튜브가 수십, ... ...
한국의 항공산업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되었다. 75년에는 새로운 중급 제트훈련기 XT-4의 엔진후보로서 터보-팬 엔진 XF-3의 연구와
원형
생산이 시작되었다.민간항공기분야에서는 1957년에 국가적인 과제로서 쌍발 터보프롭엔진의 YS-11여객기 개발이 선정되었다. 이것이 상업적인 배경에서의 첫 과제였기 때문에 정부와 업체 모두가 대단한 ... ...
사무자동화의 최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이용된다.(그림 1) 2) 환형(Ring) 구조 환형 구조는 전송선로를 노드와 연결하여 선로를
원형
으로 만드는 구조를 말한다. 선로상의 데이타는 선로를 따라 한쪽 방향으로만 순환되어 연결된 노드에 전송된다. 망에 연결된 각 노드의 선로상의 데이타가 자신의 데이타이면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 ...
기후는 생활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옛날에는 외기에 대한 인체의 기온조절을 의복에 의지하는 바가 컸었다. 우리 의복의
원형
은 북방 호복(胡服) 계통으로 여겨진다. 우리의 의복은 계절에 따라 갈아 입어야 되며, 추위를 막고 더위를 이길 수 있는 구조로 발달하였다. 또 의복의 원료는 기후조건에 맞는 섬유작물을 재배하여 얻었으며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