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화"(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3) 스몰케 교수팀은 양귀비과 식물 3종(이란양귀비, 양귀비, 캘리포니아양귀비(금영화))과 황련, 세균(슈도모나스 박테리아), 설치류의 유전자 총 21개를 합성한 뒤 효모에 삽입해 당을 테바인으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테바인은 모르핀의 핵심 전구체로 여기에 두 개의 아세틸기를 결합하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놓인 것은 하얀색 바탕에 푸른 꽃무늬가 그려진 평범한 도기 접시 위에 어딘가 공상과학영화에서 튀어나온듯한 회백색 직육면체인데, 이것의 정체는 다름 아니라 10분 전에 주방 옆 화장실에서 그녀가 보고 온 볼일의 생화학공학적 재처리 결과물이다. 보고 있기만 해도 태곳적 동물 시절부터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서로 다른 유전자를 이어 붙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용어다.합성생물학 연구자들은 영화와 달리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 수준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아직 이 정도밖에 다루지 못한다). 그러나 미생물이든 고등 생명체든 합성생물학이 인류에게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은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금까지 수만 명과 인터넷 화상채팅을 이용해 수화로 대화를 했다. 이 중에는 미국의 영화배우이자 환경운동가로 유명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도 포함돼 있다. 연구자들은 코코의 이름을 딴 ‘코코 재단’을 세우고 야생 고릴라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다. 코코 역시 자신이 가진 놀라운 재능을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것 같다. 꿈보다 해몽일지 모르지만, 역시 예술가다운 발상이었다(그 친구는 지금 영화감독이 돼 있다). 그런데 그 때 느낀 게 있었다. 혼자밥 모임의 회원들 다수는 나처럼 대2병에 취해 있지 않았다는 거였다. 그들은 정말 밥을 혼자 먹고 싶어 하지 않았다. ‘혼밥’은 억지로 택한방편이었을 ... ...
- 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영화는 인간이 이 욕망을 얼마나 위험하게 보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그리고 2016년, 영화 속 상상은 현실이 돼 인간이 디자인한 첫 인공생명체가 태어났다. 과연 이 생명체는 인류의 위협이 될 것인가, 구원이 될 것인가. 생물을 설계하는 합성생물학, 그 명과 암을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떻게 바꿔놓을까? 영화 ‘매트릭스’나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암울한 미래일지, 영화 ‘로봇, 소리’처럼 사람과 인공지능이 서로 도우며 공존하는 아름다운 미래일지 궁금하다. 만약 이번 대국으로 인공지능에 관심이 생겼다면, 관련된 지식을 늘려보는 것은 어떨까? 그렇게 시작한 공부가 ... ...
- 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간단한 자동화 로봇이나 영화 ‘그녀’ 속 사만다 같은 완벽한 인공지능에는 불쾌함을 느끼지 않지만 그 중간에서 어설프게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에는 불쾌함을 느낀다는 이론이다. 알파고를 보면서 느꼈던 불쾌감은 인공지능이 기초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퀴즈만 잘 푼다면 성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약한 인공지능이다. 반면 강한 인공지능은 영화 ‘그녀’ 속 사만다처럼 인간의 지성과 이성, 감성 등 다양한 능력을 모두 갖춘 인공지능이다. 스카이넷처럼 인간을 훨씬 초월하는 지능이 ‘초지능(super AI)’이다. 당연히 약한 인공지능에서 초지능으로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등이 궤도를 수정할 때 플라스마 추력기를 사용하고 있다.● 광선검최근 개봉한 영화 ‘스타워즈 : 깨어난 포스’에 등장하는 광선검을 재현할 수 있는 기술로도 현재로선 플라스마가 가장 유력하다. 강력한 전원 장치와 길고 가느다란 필라멘트로 칼 모양의 플라스마 발생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