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확인할 때 사용되는 DNA 프로파일링이 바로 이 방법이다. 현재 복제인간을 추진중인
연구진
은 복제아기가 정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황우석 교수는“복제된 개체의 정상여부는태어난 이후에나 확인할 수 있다”면서 기형을 갖고 있을 것을 우려했다. 그러면서 그는“태어난 개체가 만약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드디어 2001년 크리스마스날, 미국 미주리대와 바이오벤처인 이머지바이오 세러퓨틱스
연구진
은 인체에 이식할 경우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한 돼지 4마리를 복제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강원대 수의학과 정의태 교수와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그리고 ... ...
스파이에겐 거짓말 탐지기 무용지물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탐지기를 사용한다면 거짓말을 포착하지 못하고 오판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연구진
은 살인과 같은 특정범죄와 관련해 개인을 상대로 사용될 때는 언제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처럼 질문 자체가 초점이 분명하고 대답의 진위를 판단하기도 쉬워 거짓말을 가려낼 확률이 ‘상당히 높은’ ... ...
올해의 Ig 노벨상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이밖에 Ig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개 짖는 소리를 번역해주는 전자기기를 개발한 일본
연구진
에게 평화상, 맥주 거품이 지수함수적 감쇠법칙을 따른다는 것을 밝힌 독일 뮌헨대 아른트 레이케 교수에게 물리학상을 수여했다 ... ...
고분자 화합물로 뇌세포 재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재생된 신경세포와 숙주 신경세포 사이에 신경연결이 활성화되는 점을 확인했다고
연구진
은 밝혔다.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경줄기세포와 고분자 화합물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뇌 신경세포의 재생을 극대화시킨데 큰 의미가 있다”며“앞으로 고분자화 합물에 재생효과를 촉진하는 단백질 또는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역문제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그 관심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연구진
들의 연구결과는 그 수준이 매우 높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수학적 역문제에는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수많은 난해한 질문들이 있다. 지적인 도전 정신이 강한 많은 젊은이들이 도전해볼 ... ...
2. 영재고 진학의 지름길 과학영재교육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사사교육을 받는 학생은 대학 교수와
연구진
들의 연구활동에 직접 참여해 보조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은 교수와 밀착형 개인 교수 활동을 경험한다. 최종적으로 과학영재들은 자발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적 학습설계를 통해 저마다 창의성과 ... ...
왜 통계물리학자가 단백질 연구에 매달릴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통해 단백질 접힘 문제와 같은 생명활동의 근본문제를 이해하려는 연구팀은 고등과학원
연구진
이 유일하다. 그 이유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통계물리학뿐 아니라 전산과학과 생명정보학 등 여러 지식을 필요로 하는데, 이런 학계 간 연구를 수행할 인력이 국내에 부족하기 때문이다. 국내의 참된 ... ...
한국인이 생성과정 밝혀낸 마이크로RNA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새롭게 떠오르는 대표 주자는 ‘마이크로(micro)RNA’다. 마이크로RNA의 생성과정이 국내
연구진
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지난 17일 서울대 ‘BK21 생명과학 인력양성사업단’의 김빛내리 교수팀은 마이크로RNA가 세포 내에서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유럽의 저명한 생명과학 ... ...
영화 속 범죄예측 시스템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가진 아이들은 학대를 받을 경우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연구진
은 1972년 뉴질랜드 다니딘에서 출생한 소년 4백42명의 성장과정을 26년 간 관찰·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내렸다. 문제의 유전자는 모노아민 산화효소(MAOA)의 양을 조절하는 유전자인데, MAOA는 뇌 속에서 감정을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