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물은 우리가 평생 가장 많이 마시는 음료다. ‘물을 많이 마시면 건강에 좋다’ ‘하루에 8잔을 마셔라’ 등 물 마시기에 대한 조언도 넘쳐난다. 물이라면 전부 같은 물일까. 마트나 편의점에 진열된 페트병에 담긴 물 성분을 살펴봤다. ● 01 WATER - 칼슘과 마그네슘 이 비율 무엇? 생수? 먹는샘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건물 심지어 구름과 나무까지 모두 블록으로 만들어졌다면 어떨까요? 필요한 블록을 채취해 무기를 만들고 알록달록한 블록을 쌓아 멋진 그림도 그릴 수 있을 겁니다. 원하는 건 뭐든지 만들 수 있는 세상에서 블록 놀이 솜씨를 뽐내보세요! 2014년 9월, 게임 업계에 엄 ... ...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제 우리 네안데르탈인이 그렇게 아둔한 원시인이 아니었다는 걸 알겠지? 그런데 그렇게 똑똑했으면 왜 다 사라졌냐고? 어허, 이것 참. 누가 다 사라졌다는 거야?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화석이 발굴되는 모습. 2010년, 이곳에서 발견된 화석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새로운 종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2018년 11월 25일, 생명과학계를 발칵 뒤집어놓을 만한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이 영상에서 허젠쿠이(賀建奎)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는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으로 수정란의 유전자를 편집해,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에 면역력을 가진 쌍둥이 ‘룰루’와 ‘나나’를 탄생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든 데이터에는 숨겨진 ‘성격’이 있습니다. 가령 특정한 의료 데이터를 추출해서 분석하면 일정한 경향이 보입니다. 이는 천문학, 물리학 등 자연과학부터 인문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됩니다. 이처럼 컴퓨터공학은 컴퓨터 자체를 개발하기도 하지만, 모든 학문 분야의 주요 ...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드디어 이삿날! ‘매스 익스프레스’라는 문구가 쓰여 있는 조끼를 입은 이삿짐센터 아저씨들이 오셨어. 그런데 이 아저씨들은 뭔가 남다른 것 같아. 상자에 짐을 넣고 나르는 게 아니라 옮길 물건들을 기록하면서 컴퓨터에 뭔가를 입력하는 거 있지? 대체 뭘 하는 거지? 상자 채우기 문제란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학자가 직접 만든 미해결 수학 문제부터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문제, 수학 퍼즐까지.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문제에 관심 있는 누구나 온라인에서 댓글로 아이디어와 풀이를 올려 수학 문제를 힘을 합쳐 푸는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예요. 2019년 1월부터는 코딩을 이용해 문제를 풀거나 수학 문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우리는 다양한 모임에 속해 있습니다. 가족, 학교, 동아리 등 많은 모임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지요. 이 같은 모임은 그곳에 속한 대상을 명확하게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사람들, 성격이 좋은 사람들과 같은 모임은 어떨까요? 그 대상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죠? 오늘은 수학에서 모임의 대상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흔히 역사를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나눕니다. 이 분류의 기준은 바로 ‘재료’예요. 당시 사람들이 사용하던 도구의 재료로 문명의 발달 정도를 나눈 거죠. 그만큼 재료는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 왔습니다.” 주영창 서울대 재료공학부 학부장은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중생대 백악기, 아주 작은 크기의 공룡이 호숫가 주변의 촉촉하게 젖은 땅 위를 걷고 있었다. 공룡은 젖어 있는 땅 중에서도 ‘적당하게 굳은’ 진흙 위를 걸어가며 발자국을 남겼다. 발자국의 크기는 불과 1cm밖에 되지 않았다. 엄지손톱 크기 정도다. 대부분의 육식 공룡은 두 발로 걷고, 뒷발에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