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9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스톡스가 물의 흐름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만든 식이다. 여기에 프랑스의 물리학자 클로드 루이 나비어가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식을 완성했다.이를 이용해 심장을 최초로 수학적으로 분석한 사람은 미국 뉴욕대 부속 쿠랑 수리과학연구소의 찰스 페스킨 박사다. 페스킨 박사는 1977년 사람의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사고실험’이 중요하다고 본다. 물리 현상을 탐구하는 게 물리학이고 화학 현상을 탐구하는 게 화학인데, 수학은 현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로 사유하고 머리로 검증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의 머리가 아니라 컴퓨터가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념비적인 프로젝트다. 지금까지 연구해온 초전도 토카막 건설과 운영 기술, 플라스마 물리학 지식을 총동원해 지상에 초대형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케이스타의 약 3배, 부피는 약 25배에 이른다. 미래의 상용 핵융합로에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제어를 연구 중이며, 핵융합의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윤 교수가 “청색 LED는 노란 형광체를 발라 백색 LED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번에 물리학상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하자 한 참가자는 “왜 적색 LED는 같은 원리로 백색 LED를 만들 수 없느냐”고 물었다. 올해 생리의학상 주제였던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차이를 설명하던 곽 교수에게 “철새는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없었대요).그럼 화성은 왜 질량이 지구의 10분의 1밖에 안 되냐고요? 미국 시카고대 지구물리학과 니콜라스 다우파스 교수팀의 연구 결과, 다른 행성들은 보통 성장하기까지 수천 만 년이 걸리는 데 비해 화성은 200~300만 년 만에 급격히 커진 뒤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피해 지금의 크기가 됐다고 해요.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등장했다. 월리스는 원래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신학을 공부한 성직자였지만, 수학과 물리학에 관심을 갖고 다시 공부해 1649년 영국 옥스퍼드대의 기하학 교수가 된 인물이다. 결과적으로 그가 수학으로 전공을 바꾼 일은 굉장히 잘한 일이었다. 이탈리아의 수학자 카발리에리나 프랑스의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회사 상사에 대한 분노다. 상사의 지시로 10년 간 적외선, 적색 LED를 연구했지만 성과가 없었다. 회사에서는 쓸모 없는 인재로 찍혔고, 모든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꺼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