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답"(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왔어요. 비밀과학수사대는 깜짝 놀라고 말았죠. 박나래 뒤로 들어온 지원군이 정답인 ‘우산이끼’를 들고 있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더욱 놀라운 건 마지막에 들어온 사람이었어요. 그 사람은….“너도 비밀과학집단?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술을 개발하는 유망한 교수라면 처음부터 관련 분야에 관심이 많았을까. 정 교수의 대답은 의외였다. 전공을 선택할 때 10년 뒤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는 것. 처음에 화학공학과에 진학한 것도 아는 사람이 진로가 다양하다고 추천해서였고, 전기화학 분야를 전공하게 된 ...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잃어버린 데이터의 값을 예측하는 거지. 추천 서비스의 경우에는 컴퓨터가 빈칸의 답이 1이 될 확률과 0이 될 확률을 각각 계산해 확률이 큰 값을 출력할 거야. 1이면 추천하고 0이면 추천하지 않아.수학으로 닮은꼴을 찾아라컴퓨터가 계산한 확률이 내가 실제로 볼빨간사춘기를 좋아할 확률과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다 속 석회암이 융기해 만들어진 산이다. 특히 퇴적 과정에서 내포된 불순물이 아름답게 줄무늬를 이룬 플린트는 장신구로도 사용된다.다양한 모습만큼 다양한 생성 환경석영은 지각에 가장 풍부한 원소인 산소와 두 번째로 많은 규소가 만난 것이기 때문에 생성 환경에 따라 형태가 매우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쉽지 않다. 과연 복제된 왕자에 관한 문제를 접한 어른들은 왕자의 답이 무엇이라고 답할까? 지난 3월 11일에 논리적인 표현을 공부하는 어른들의 모임 ‘두뇌보완계획’을 찾아가 의견을 들었다.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의 ‘알쏭달쏭 논리동화’에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논리적인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보통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으면 컴퓨터는 화면에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띄운다. 이 프로그램이 소비하는 에너지가 아깝다면 ‘일정 시간 뒤에도 작동하는 프로그램은 스스로 종료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인공지능이 자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과연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이 없는 평면 그래프는 항상 3색으로 칠할 수 있을까요? 답은 예, 아니오 둘 중 하나지만 아직 누구도 풀지 못했습니다. 어쩌면 누구도 보지 못한 반례 그래프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일요일에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1/4÷( 1/4+ 1/2)= 1/4÷3/4= 1/3입니다.blueart3917님정답은 1/2입니다. 만약 큰 공주가 깨어났다면 공주의 입장에서는 지금이 ‘동전이 앞면이 나와서 자신만 깨어난 경우’와 ‘동전이 뒷면이 나와서 자신과 작은 공주가 둘 다 깨어난 경우’ 둘 중 하나이기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됐을 테니까”이다. “네가 백인 남자였으면 엔지니어를 꿈꿨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해방 후 한국 경공업 떠받친 여공의 삶한국에도 히든 피겨스가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과학과 공학은 최근 20여 년 사이에야 크게 발전했기 때문에, 영화에서처럼 천재성을 발휘한 개인이 등장할 수는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인간의 활동 때문에 발생했다는 가설에 과학자들은 얼마나 동의할까. 답은 약 97%다. 온난화를 주제로 쓴 논문 11만9494편의 초록을 호주, 미국, 영국 등 6개 연구팀이 분석해 얻은 비교적 정확한 숫자다(논문➊). 이것은 언뜻 모두가 동의하는 것처럼 보이나, 뒤집어 보면 3%의 과학자는 여전히 반대하고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