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띄엄띄엄 있는 도시에선 쉬웠는데…. 결국 포기하고 처참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오다가
근처
대학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혜성관측을 도와주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다. 천문학도임을 숨기고, 달보다 더 큰 혜성의 꼬리에 감탄을 하며 햐쿠타케 혜성을 감상하였다.나는 공상의 왕나는 천문학자지만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것이다. 다들 의욕이 넘쳐 보였다.새 대원들이 각자 자리에 배치받기 전 함께 기지
근처
의 지형을 둘러보러 나갔다. 화성에 온 지 한 달 만에 처음으로 화성의 땅을 밟아보는 것이다. 물론 우주복을 입은 채로지만. 의무실이 있는 돔을 나오자마자 보이는 새 돔 건축 현장에 건설 전문 대원이 큰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40억 살짜리 암석이 바로 이곳에 있다. 금빛으로 빛나는 바위들 옆에는 금광이 있고,
근처
에는 다이아몬드와 구리 광산이 있다. 흰 색의 설원이 수묵으로 그린 동양화라면 붉은 단풍과 금빛으로 물든 바위가 있는 호숫가는 인상파의 서양화 느낌이다.[에노타 롯지 위에 오로라가 뜨던 밤오로라는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나섰다가 당하는 사고야.얼마 전에는 화성의 대기에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장
근처
에서 사고가 났어. 우주복 헬멧을 벗고 최대한 오래 버티는 내기를 하다가 몇 명이 병원으로 실려왔지 뭐야. 부모님은 나도 행여나 그런 짓을 할까 봐 신신당부를 하셨어. 처음 왔을 때보다는 화성의 대기가 ... ...
비상! 화산재로 뒤덮인 캄차카 반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있어요.그 결과 화산재 기둥이 1만 500m 상공까지 치솟고, 화산재 구름이 넓게 퍼져
근처
를 지나는 비행기에 치명적인 위협을 주고 있어요. 화산재가 비행기 엔진으로 들어가면, 동력이 끊어져 끔찍한 사고가 날 수도 있거든요. 지난 해 유럽을 위협한 아이슬란드 화산, 올해 칠레 화산 등 지구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수온이 따뜻해지면서 식인상어 중 하나인 청새리상어의 개체수가 늘고 있어요. 우리나라
근처
바다에 먹이인 어류의 수가 늘어, 먹이를 따라 들어온 청새리상어의 수도 늘어났기 때문이지요.앞으로도 한반도의 바다를 찾는 상어들의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요. 과학자들은 이렇게 되면 먹이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저는 독도경비대 형들과 함께 생활하는 삽살개 ‘지킴이’예요. 동도에 사는 저는
근처
바다에서 반신욕 할 때가 가장행복하답니다. 컹컹! 참! 독도에서 바다사자를 찾는다구요? 그렇다면 24시간 독도를 지키는 독도경비대 형들에게 물어보세요~!‘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하세요. 우리 ... ...
개구리도 액화를 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놓으면, 잠시 후 콜라병에 물방울이 송글송글 맺히는 걸 볼 수 있어요. 차가운 콜라병
근처
에 있던 수증기가 응축돼 액체인 물방울로 변하는 액화가 일어나기 때문이지요.호주 열대 초원에 액화 현상을 이용하는 초록청개구리가 있어요. 호주 열대 초원은 겨울에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 ...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기념품으로 팔릴 만큼 흔했어. 상어가 수온이 따뜻한 물에 사는 생물이라 뉴칼레도니아
근처
에서 화석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래. 박사님 말씀에 따르면 해저 지각 속에서 따뜻한 물이 뿜어져 나오는 열수광상 지역에는 아직 메갈로돈이 살고 있을지도 모른대. 다양한 해양생물의 비밀은 산호 속에 ... ...
장마 뒤에 물폭탄? 날씨가 수상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우리나라에 폭염이 찾아오는 이유는 북태평양 고기압 때문이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적도
근처
에서 발달한 기단으로 온도와 습도가 모두 높다. 올해는 특히 예전보다 더 강해진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해에 비해 6일이나 일찍 끝난 중부 지방의 장마가 바로 그 증거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