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있어요. 대표적인 예가 행복 지수예요.영국의 심리학자 로스웰은 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공식을 발표했어요. 이들은 18년 동안 1,00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80가지 상황에서 자신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5가지 상황을 고르게 하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행복은 인생관과 같은 개인적 특성(P ... ...
- 홈스테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더 차갑게 느껴지는 것이었다.‘그런데 왜 헤어진 거지? 아니지, 헤어진 게 아니었지 참. 공식적으로는.’침대를 찾아 몸을 누이며 나는 문득 그런 생각을 했다. 그리고 거짓말같이 곧바로 잠이 들었다.빗소리에 다시 잠에서 깨어 보니 몇 시쯤 됐는지 알 길이 없었다. 나는 배 위에 두 손을 올린 ...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지구의 중력쯤은 가볍게 이겨내고 큰 힘을 발휘한다고 말한다.F(힘)=m(질량)×a(가속도) 공식을 이용해, 슈퍼맨이 200m 건물 위로 뛰어오를 때 필요한 힘을 직접 계산해 보자.슈퍼맨의 몸무게가 100kg이라고 가정하자. 먼저 슈퍼맨이 200m 건물 위로 뛰어오르는 동안 발생하는 가속도를 구해야 한다. 이때 ...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했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FBI가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었고, 여러 이유를 더해 공식적으로 추방한 것이다.사실 에르되시는 청소년 시절 전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겪었다.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유대인 학살이 시작되면서 그의 아버지는 러시아군에 잡혀 포로생활을 했고, 가족은 고문을 ... ...
- ‘힉스’와 ‘중성미자’를 대하는 신문의 자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년 전인 지난해 7월 4일 CERN은 “힉스 입자로 보이는 새로운 입자가 발견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세계 언론이 몇 달 동안 힉스 입자 발견에 대한 과학보도를 쏟아냈고, 호이어 CERN 소장이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것처럼 힉스 입자는 이제 탄탄하게 인정을 받고 있다.그러나 그보다 1년 전인 201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탑의 규칙에 따라 원판을 모두 다른 막대에 옮기는 데 필요한 횟수는 2ⁿ-1 이다. 이 공식은 직접 원판을 옮겨보며 그 규칙을 찾아 구할 수 있다. 바늘에 꽂혀 있는 원판의 개수를 n이라고 가정해 보자.n=1인 경우 : 1=2¹-1(회)n=2인 경우 : 3=2²-1(회)n=3인 경우 : 7=2³-1(회)n=4인 경우 : 15=2⁴-1(회)…n= ...
- 수학 동아리계의 팔방미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큐브클래스는 1기 8명, 2기 9명, 3기 3명으로 구성 돼 있다. 1기 학생들은 고3이 되면서 공식적인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하지만 선후배 사이의 관계가 돈독해 후배들이 도움을 요청하면 언제든지 달려와 준다.지난 1년 동안, 동아리라는 걸 처음 운영하며 동고동락해서인지 후배들을 생각하면 애틋한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때문이다. 공식 집계에 의하면 25만여 명이 사망하고, 16만 4000여 명이 부상당했으나, 비공식 집계에 의하면 사망자 수는 65만여 명에 이른다.예보를 했지만 대비하지 못한 사례도 있다. 2010년 1월 12일에 발생한 규모 7.0의 아이티 지진이 그렇다. 당시 아이티 지진은 비교적 작은 규모였지만 인구 밀집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교수는 위 식을 “성장 속도나 영양상태 등을 전혀 고려 하지 않은 신빙성이 없는 공식”이라 지적하며 “환경요인도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예상키를 구하는 간단한 식은 없다”고 설명했다.그런데 이상하다. 분명 키는 ‘유전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신체 특성’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김희발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그 뒤 푸앵카레는 연구를 거듭해 첫 번째 논문의 오류를 바로잡은 새 논문을 1890년에 공식적으로 출판하게 된다.1999년, 영국의 수학 사학자인 준 배로-그린은 스톡홀름 미탁 레플러연구소의 기록보관소 구석에 숨겨져 있던 푸앵카레의 첫 번째 논문을 발견해 이 같은 사실을 세상에 알렸다.어쨌든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