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급
보급
제공
조달
공급계약
계약
이바지
d라이브러리
"
공급
"(으)로 총 2,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먼저 일어난 후 암반응이 진행되는데, 명반응에서 ATP와 NADPH2를 생성해 암반응에
공급
해야 암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말의 형태로 저장한다. 초식동물은 광합성으로 만든 양분을 먹고 살며, 초식동물을 먹고 육식동물이 살아간다. 즉 우리는 광화학 반응의 결과로 만들어진 음식물을 먹고 사는 것이다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좀 어둡다면 목성 같은 거대한 가스 행성을 먹이로 줘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원료를
공급
해 주는 건 어떨까.’ ‘외계인과 지구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는 없을까.’지금으로서는 순수한 상상에 가깝지만 미래는 알 수 없다. 행성을 원하는 대로 개조하기 쉬워진다면 은하계의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산소 감지계를 조절해 숨을 빨리 쉬게(과호흡) 만든다. 적혈구의 숫자도 늘어나서 산소
공급
을 원활하게 한다. 산소가 부족할 것에 대비해 뇌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은 증가하고 근육으로 가는 혈류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 단계를 지나면 ‘느린 순응’을 거친다. 낮은 기압에 몸이 완전히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달라고 제안했다. 마침내 지난 3월 충북 오창에서 열린 워크샵에서 공식적으로 뇌조직을
공급
받기로 하고 연구 방향의 기본틀을 마련했다.9월 19~24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프로테옴기구 연례 학회에 참석한 박 박사와 헬무트 마이어 독일 보쿰대 교수, 미셸 살제 프랑스 릴대 교수를 비롯한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역에 이르는 시베리아 기단은 육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열에너지를 태풍을 통해
공급
받습니다. 그런데 태풍이 적게 발생하고 그 규모도 작은 경우에는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이 적어 시베리아 기단의 온도가 더 낮게 유지됩니다. 시베리아 기단은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를 좌우하기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 처음에는 수학자가 단순히 게임의 승리비법을 밝히기 위해 연구했지만, 전기
공급
시스템과 전기회로 기판의 초기 설계, 영재교육에 활용되면서 공학자와 교육학자도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를 알면 게임은 100전 100승!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제2게임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임신과 다르다. 그러나 수정란이 착상한 다음 단계, 즉 태아가 태반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
받고 무럭무럭 자라 질을 통해 출산되는 과정은 자연 임신과 같다. 불임 부부가 수정란을 만들어 임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인 셈이다.산부인과 학계에서는 결혼을 한 뒤 1년 동안 정상적으로 부부생활을 ... ...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답안 옥수수 같은 식물은 루비스코가 있는 캘빈 회로에 CO2만을
공급
하는 회로를 갖고 있어서, 루비스코는 오직 CO2와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로는 CO2를 고정해 최초로 생산하는 물질이 4탄소 화합물이므로 이러한 식물을 C4식물이라고 한다. 이외의 식물들은 캘빈 회로를 통해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또 다른 컴퓨터가 자동으로 전기를
공급
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다른 전선을 찾아서 전기를
공급
해 주기 때문에, 전기가 끊길 걱정이 줄어들 거랍니다.우와~!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던 친구의 얘기가 미래에는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걸 보니 가슴이 두근거리는 거 있지? 예전 과학자들이 꿈꿨던 세상이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작업이 바로 나뭇잎과 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만드는 것이다. 떨켜층은 줄기로부터 물의
공급
을 막고 잎에서 만든 양분도 줄기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온도에 민감한 엽록소는 기온이 내려가면서 파괴된다. 이때 엽록소와 결합한 단백질이 분리되면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이 아미노산이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