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위성을 발사했다. 전남 고흥 외나로도에는 2007년 완공을 목표로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장
건설
이 한창이다. 2008년 4월이면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 탄생하고, 2020년에는 독자적으로 유인우주선을 발사할 꿈도 갖고 있다.하지만 대부분 당장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아니다. 다만 최근 ... ...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비전을 만들었는지 후배 엔지니어에게 말해줄 시간이 됐다고 봅니다”라며 전자, 기계,
건설
등 9개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활동한 엔지니어 60인을 선정해 그들의 땀과 노력을 알릴 것이라고 설명한다.선배 엔지니어로서 선우 교수는 “사회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실력 있는 엔지니어만이 ... ...
인어공주가 살 것 같은 바다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미크로네시아 축에서 일본은 항만과 냉장시설
건설
을 지원하고, 중국은 공항과 활주로
건설
을 원조하고 있다.우리나라는 한국해양연구원을 통해 2000년 축의 웨노 섬에 한·남태평양연구센터(소장 박흥식)를 설치해 해양 관련 자원과 기술을 확보하고 현지에 이전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철도는 광복 이후 크게 달라졌다. 1960년대 경제개발에 따라 산업용 철도를 추가로
건설
했고, 1972년에는 컨테이너 화물을 수송하며 수출에도 기여했다. 고속도로망이 미비했던 시절 철도는 ‘산업의 대동맥’이었다. 1970년대 초 철도는 화물수송 분담률 57%를 기록해 국가 기간수송망의 기능을 다했다 ... ...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속 100~110km 정도다. 현재 대전엑스포공원과 국립중앙과학관을 잇는 자기부상선로가
건설
중이며 내년 10월 완공돼 무인 자동운전방식으로 시험 운행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도 진행되고 있다.속도를 향한 사람들의 끊임없는 욕구를 만족시키며 생활 속에서 더욱 편리하고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하기 위해서는 이미 자연히 존재하는 웜홀 외에 필요한 곳곳에 안정적인 웜홀을
건설
해야 한다.이제 스타트렉에서 또 다른 주요 주제인 시간여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상경험에서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순으로 흐르며 우리는 현재란 시간에 머문다. 과거는 기억으로만 남을 뿐이며 미래는 ... ...
다시 열린 철의 실크로드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고가 철로굴착기도 파들어 가기 어려울 만큼 꽁꽁 얼어붙은 땅 위로는 아예 긴 고가를
건설
해 철로를 깔았다. 열차에는 고산지대의 강한 자외선을 막기 위한 차단막까지 마련돼 있다. 중국은 칭짱철도가 극한 환경을 이겨낸 중국 기술력의 상징이라며 자부심이 대단하다.물론 문제도 있다. 개통한지 ... ...
우주로 날아가는 999 기차역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999의 기차역이나 마징가Z 지하기지 프로젝트는
건설
업으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건설
업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싶어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꿈이나 목표가 없으면 실제 기술도 발전하지 못한다”며 “일본에서 두발 로봇이 발전한 것도 바로 아톰의 영향”이라고 강조했다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당시 이집트인들은 투반을 기준으로 정북을 잡아 건축물의 방향을 정하며 피라미드를
건설
했다.중국인들은 3000년 전, 하늘에 떠있는 별에 계급과 관직을 부여했다. 당연히 수많은 별 중에서 왕이 될 별이 필요했다. 그 별은 바로 하늘의 주인이라는 뜻의 이름을 붙인 ‘천주성’이었다. 천주성은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KIST)의 초대원장이자 7년 동안 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일하면서 대전 대덕연구단지
건설
을 계획하는 등 우리나라에 맞는 과학발전모델을 제시하였다.화학계의 휴머니스트 김순경(1920〜2003)한국을 대표하는 화학물리학자 김순경은 미국에서 연구활동을 하며 무려 72편의 논문을 발표해 한국인의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