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흙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특이한 믿음 때문은 아니다. 엄마가 먹고 할머니가 먹으니, 자연스럽게 먹는다. 기원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설이 있지만, 무엇도 확실치는 않다. 딱 하나 분명한 건, 더 이상 무분별하게 흙을 먹어선 안 된다는 사실이다.흙을 먹는 행동을 의학 용어로 ‘토식증’이라고 한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첫 번째 수업은 가볍고 즐거운 마음으로 마무리했다. 벌써 다음 수업이 기대된다. 혹시 기자처럼 만들기 본능이 꿈틀대는 독자들이라면 집에서 가까운 무한상상실을 찾아 어떤 프로그램이 열리고 있는지 살펴보시길. 다양한 주제의 메이커 강좌가 무료로 열리고 있다는 사실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후각이 예민해 아주 옅은 향기라도 잘 맡고, 서로 다른 냄새를 잘 구분하는 사람을 ‘개 코’라고 부른다.다른 사람들은 전혀 분간이 되지 않는 냄새를 척척 맞히는 모습이 마치 마약을 탐지하는 훈련견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상식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람 코의 능력이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최근 장티푸스 및 비티푸스성 살모넬라균(iNTS)이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발생한 발열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인구밀도에 상관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아동들이 주로 감염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 연구를 주도한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이하 IVI) 연구팀은 의학저널 ‘랜싯글로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금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무엇이 우리의 미래를 변화시킬까.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서 남녀노소 모두가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강연이 열리고 있다. 네이버와 네이버문화재단, 카오스재단이 후원하는 인문과학 강연 프로젝트 ‘열린연단 : 문화의 ... ...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국에서 하던 화학공정 연구의 연장선이다. ‘화알못(화학을 알지 못하는 사람)’인 기자가 “화학공정 연구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얘기해달라”고 하자 이 교수는 화학공정을 밥솥에 비유했다.“밥을 만들려면 물 양도 조절해야 하고, 언제 센 불로 끓여야 하는지, 언제 뜸을 들여야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세종시에 살면서 평소에 금강을 자주 보거든요.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강이 녹조로 가득 뒤덮여 있더라고요. 충격을 받아서 녹조 제거에 관한 논문은 다 찾아봤죠. 그중 석회석을 이용하는 제거 방법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대회에 참가하게 됐습니다.”‘굴 껍질의 성분 변화를 통한 녹조 제거’를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직업은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 이어 바둑 세계랭킹 1위인 커제 9단까지 물리쳤습니다. 이제 사람이 바둑으로 알파고를 이길 일은 없어 보입니다. 그 어렵다던 고지에 오른 인공지능, 머지않아 수학자의 삶도 넘보지 않을까요?5월 30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미국 예일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이 대체 ... ...
- [수학뉴스] 수학자 에미 뇌터를 알리는 호텔이 있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성차별과 인종 차별의 한계를 뚫고 수학과 물리학에 크게 기여한 20세기 수학자 에미 뇌터를 알리는 예술작품이 5월 말 미국 시카고에서 문을 연 호텔 EMC2에 걸렸습니다.상대성이론이 좋아 호텔 이름까지 관련 공식으로 지은 호텔리어 스콧 그린버그가 수학자 유지니아 쳉과 손잡고 전시를 기획한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황제펭귄을 수호하라!6월 6일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WHOI)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거주지 이전이 반짝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고 합니다.우리 종족의 수가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입니다. 이상 고온 현상으로 해빙(바다 얼음)이 너무 많이 녹으면서 주요 먹잇 ... ...
이전912913914915916917918919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