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판다는 원래 ‘육식성’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마스코트 판다가 유전학적으로는 육식동물이라는 뜻밖의 연구
결과
가 나왔다. 판다는 둔한 몸으로 풀밭에 앉아 대나무 잎을 뜯 ... 멸종 위기에 처한 판다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지난 12월 13일 발행된 ‘네이처’에 소개됐다 ... ...
미녀가 드문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거리가 얼굴 길이의 36%일 때, 두 눈동자 사이 거리가 얼굴 폭의 46%일 때 가장 예쁘다는
결과
를 얻었다. 미녀의 조건이 되는 새로운 ‘황금 비율’인 셈이다.연구에 참여한 캐나다 토론토대 강 리 교수는 “얼굴의 요소뿐 아니라 그 배치 역시 얼굴의 매력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재빨리 뭉쳐서 형성됐기 때문에 내부의 열에너지가 밖으로 빠져나가 지 못했다. 그
결과
내부가 용융돼 무거운 암석질은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이 표면으로 떠오르게 됐다. 가니메 데가 내부 핵의 움직임에 의한 자기장이 존재하는 유일한 위성인 이유다. 반면에 칼리스토는 매우 천천히 물 질이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자폐증, 정신분열증 등의 뇌질환에서 내정 상태 회로의 활성이 저하돼 있다는 연구
결과
들이 보고됨에 따라 과학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아무래도 요즘 정신줄을 놓고 있는 사람이 더 많아진 것 같다. 예전보다 각양각색의 다양한 정보가 흘러넘치다 보니 필연적으로 뇌가 적응하게 된 건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로따로 g를 적용하고(즉 g(3)과 g(1)을 계산해 놓고) 나중에 곱셈을 한 g(3)×g(1)이 같은
결과
를 준다. 한편 지수함수 대신에 로그함수를 사용하면 곱셈구조를 덧셈구조로 유지해준다.이런 종류의 함수를 암호에 사용하면 당장 문제점이 생겨난다. 함수 h(x)를 암호에 쓴다고 하자. 비밀정보가 두 개 ... ...
핵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핵재료공학이 무엇인가요?원자력 분야는 연구
결과
를 현실세계에서 구현할 때마다 재료적인 한계에 부딪혀 왔다. 원자로에는 고온과 방사선 노출을 견딜 수 있는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킬 재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핵재료공학은 원자력 에너지를 안전하고 경제적인 지속가능한 에너지로 만들기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다면, 태양계 중력에 변화가 생겨 지구를 태양에서 먼쪽으로 조금씩 밀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를 발표했다. 이 기술이 성공을 거두려면 지름이 약 100㎞인 소행성을 적어도 6000년 에 한 번씩 지구에 접근시켜야 한다.이것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데다 자칫 잘못하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수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골랐을 때 등차수열을 이루는 각각의 수가 소수가 될 확률을 이용해 구한 것입니다. 그
결과
충분히 길면서 소수로만 이루어진 등차수열이 있을 수 있음을 밝힌 것이지요. 이것이 궁금하다!강연이 끝난 뒤 타오 교수는 쏟아지는 질문에 친절히 답해 주었습니다. 잠시 후, 마침내 기자들에게도 질문할 ... ...
[뉴스 속 수학 읽기] 잎 주름의 원리를 밝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물결 모양의 구불거림이 어떻게 생기는지 알기 위해 잎을 해부해 보았습니다. 연구
결과
그들은 잎사귀의 주름이 물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연구팀을 이끈 마하드반 교수는 “천천히 움직이는 물에서 잎이 성장할 때보다 빠른 물에서 성장할 때 잎의 주름이 더 ... ...
피자 분할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조각을 번갈아 먹었을 때 두 사람이 먹은 피자의 양을 비교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그
결과
피자를 자르는 횟수가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 그리고 홀수에서도 두 가지 경우로 A와 B가 먹는 피자의 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하지만 불행히도 이 연구가 실생활에 적용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 ...
이전
912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