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10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정의할 수 있도록 SGML을 수정한 것이다. SGML이 지나치게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웹에
바로
구현하기 위해 단순화한 것이 XML이다. XML을 사용하면 웹에 표현할 수 있는 언어를 웹사이트 구축자가 자유롭게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다.더불어 현재 XML에 기반해서 다양한 문서표현 언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현미경도 있다.만약 고체의 표면 구조에 대한 아름다운 사진을 본 적이 있다면 이것이
바로
전자 터널링 현미경을 이용해 만든 사진일 것이다.이렇게 포텐셜 장벽 밖으로 튀어나올 확률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포텐셜 에너지의 크기와 길이를 곱한 양에 -부호를 붙이고 플랑크 상수 h로 나눈 양을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2억2천8백만년 전 이시구알라스토층에서 발견됐다. 여기서 가장 잘 알려진 공룡이
바로
에오랍토르(Eoraptor)와 헤레라사우루스(Herrerasaurus)이다. 이들을 보면 초기의 공룡은 크기가 작았으며 다양하게 진화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시구알라스토층에서 산출되는 화석 중 가장 풍부한 것은 ... ...
생각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무슨 말인지 알 수 있다. 연구자들이 감지하고자 하는 것도 여러개의 뉴런들이 동시에 “
바로
그거야”라는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신호를 감지하는 것이다.이러한 시스템의 최대 수혜자는 장애인이다.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소등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지체부자유자들을 도울 수 있는 일이다.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세레나데를 불러야 한다.매미는 이러한 위험상황을 어떻게 극복할까. 매미가 믿는 것은
바로
울음소리다. 매미의 울음소리는 암컷에겐 달콤한 세레나데이지만, 일단 적을 만나면 마치 여성들의 치한 퇴치용 호루라기처럼 들리는 우렁찬 울음소리다.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데시벨(dB)인데,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일쑤였다.스노우(Charles Percy Snow, 1905-1980)가 ‘두 문화’에서 말하고자 했던 기본 주제가
바로
이러한 과학과 인문학 사이에서 벌어지는 의사소통의 단절이었다. 그리고 스노우는 이 단절이 20세기 영국으로 대표되는 현대 서구문명이 직면한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보았다.책 속의 한 구절이 당시의 ... ...
콘택트(Contact)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대중들로부터 광범위한 호평을 받으며 성공작으로 자리 매김을 했다. 이 영화의 원작은
바로
세이건이 일찍이 1985년에 발표한 장편 SF소설 '콘택트'다.저명한 대중과학 저술가였던 세이건은 자신이 직접 SF소설을 쓰기 전부터 이 분야에 적지 않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가 1979년에 낸 대중과학서인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클립 끼우기S자형으로 말아 놓은 종이에 클립을 끼워 종이 양끝을 잡아당긴다.클립이 서로 연결돼 튀어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왜그럴까?종이 양끝을 강하게 잡아당기면 두 ... 모세관 현상은 나무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뿌리가 흡수한 물이 잎 끝까지 올라가는 것이
바로
모세관 현상이다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겹쳐진다. 즉 두개의 실과 태양을 일치시켜 규형의 끝이 백각환에서 지시하는 곳이
바로
태양의 위치이며 이때 백각환 위에는 12시와 100각을 그려 놓았기 때문에 태양의 위치에 맞는 시각을 읽을 수 있다. 밤에는 각 계절에 정해진 시각에 남중하는 별(중성)을 측정하면 시각을 알 수 있다.지금까지 ... ...
실제 물리현상을 다루는 편미분방정식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편미분방정식이라는 수학적 모델로 표현된다.KAIST 수학과 최희준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바로
이런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찾아내고, 이 해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연구한다. 강물의 흐름을 기술하는 편미분방정식을 풀어 실제로 물이 어느 지점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강바닥 부근과 수면 부근의 ... ...
이전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