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3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약재에서 렘데시비르보다 더 강력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8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와 관련된 논문은 국제
학술
지 ‘임상의학저널’ 2020년 7월 27일자, ‘식물의학’ 2021년 6월 1일자, ‘생물의학’ 2021년 8월 11일자에 게재됐다 ... ...
6만원으로 만든 코로나19 진단장비 책가방에도 쏙 들어가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LAMP) 기술 기반의 코로나19 진단 장비를 개발하고, 높은 진단 정확성을 확인해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26일자에 발표했다. LAMP는 60~70도의 온도에서 바이러스의 RNA를 증폭시키는 기술이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진단에 사용하는 유전자증폭(PCR) 검사 역시 바이러스의 RNA를 증폭시켜 검사하는 ... ...
고대 화성 적어도 약 20억년 전까지 물 갖고 있었다
연합뉴스
l
2022.01.27
25억∼20억 년 전까지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했다는 결론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학술
지 'AGU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화성 표면의 물이 증발하면서 남긴 염화염(chloride salt) 침전물을 증거로 삼았는데, 액체 상태 물의 존재를 입증하는 첫 광물 증거로 제시했다. 이는 화성에 고대 ... ...
지금까지 알려진 오미크론 변이의 세 가지 특성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백신을 통한 T세포 면역 반응 증진이 오미크론 변이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세포와분자면역’ 18일자에 발표했다. 중화항체의 주요 역할이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라면, T세포는 중증으로 전환되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졌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특정 바이러스를 식별하는 T세포 ... ...
日 후쿠시마 원전 내 제어봉 소재 충분…"연쇄 핵분열 가능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1.26
방사성 미세입자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제어봉의 붕소 성분이 검출됐다고 25일 국제
학술
지 ‘유해물질 저널’에 발표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는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의 여파로 원자로 안 핵연료봉이 녹아내리는 멜트다운(노심용융)에 이어 폭발이 일어났다. ... ...
코로나19 변이 30분만에 PCR만큼 정확히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1.26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은 국제
학술
지 ‘나노레터스’ 지난달 28일자에 게재됐다. PCR 검사는 현재 검사 결과를 받기까지 최소 수 시간이 걸리며, 특정 유전자 서열이 존재해야만 진단이 가능해서 다른 유전자 서열을 갖는 변이종에 대해서는 ... ...
코로나19 백신 맞아도 생식능력 영향 없다...난임 환자들에서도 차이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밝혔다. 실제로 코로나19 지난해 12월 벨기에 앤트워프대학병원 연구팀이 국제
학술
지 ‘생식 및 불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후 1개월 미만의 남성의 정자 운동성은 60% 떨어지고, 정자 수도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 기간은 약 3개월 정도로 분석됐으나 영구적 손상이 ... ...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명칭 공모 내달 28일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발사돼, 1년간 달 궤도 100km를 돌며 달 표면을 탐사 할 예정이다. 한국형 달 탐사선은 국제
학술
지 ‘네이처’가 정리한 2022년 주목해야 할 과학 이슈로도 꼽혔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올해 8월 달 궤도를 향해 발사할 첫 한국형달탐사선(KPLO)에 붙일 명칭을 공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노력은 기울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을 ‘사생활 불일치 (privacy mismatch)’ 라고 부른다.
학술
지 ‘사이언스’ 21일자에는 디지털 시대 사생활 유출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생활의 진화적 기원을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기고문이 실렸다. 사생활 불일치는 진화적 불일치의 하나다. ... ...
'붉은 행성' 화성 남극 극관 아래 호수는 실체 없는 '신기루'
연합뉴스
l
2022.01.25
호수가 아닌 화산암이라는 결론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미국지구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학술
지 '지구물리학연구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탈리아 연구팀과 마찬가지로 지난 2005년에 발사된 유럽우주국(ESA)의 화성 궤도선 '마즈 익스프레스'(Mars Express)에 장착된 '화성 표면 및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