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스페셜
"
끝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과학기술자) “일본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 바이오 산업 후발주자였지만 노력
끝
에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사업화 노하우를 습득하는데 주력했기 때문이다. 일본은 미국에 연구소까지 만들어 운영하면서, 다양한 사업화 역량을 배웠다.” (다국적제약기업 엠젠 소속 한인 과학자) 미국에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제가 몸담고 있는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는 인천의
끝
자락인 송도에 있어요. 하지만 암발생에 관여하는 물질인 ‘TGF-β’와 당뇨에 대한 전문가만 각각 6, 7명이 모여 있지요. 일본이나 유럽의 TGF-β 전문가들은 저희 연구원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어요.” 김 원장은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
KAIST
l
2013.04.29
섭외과정에서 아티스트 선정에 대해 고심하는 게 정말 재미있었어요. Q.KAMF를 성황리에
끝
낸 소감은 어떠신가요? 중간마다 페이스북을 확인하는데 뉴스피드가 KAMF이야기로 도배가 되어있는 거에요. 이름이 태그 돼서 ‘다혜누나 감사합니다.’ 같은 내용이 적혀있을 때 내가 뭘 하긴 했구나 하는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포함해 진동 이론을 주장하는 논문을 써 탑 저널인 ‘네이처’에 보냈지만 우여곡절
끝
에 게재가 거절되고 결국 1996년 학술지 ‘화학감각’에 싣는 데 만족해야 했다. 그런데 2004년 ‘네이처 신경과학’에 투린의 이론에 찬물을 끼얹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분자를 고도로 정제한 뒤 비교하자 수소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과감하게 자체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대를 걸어보기로 했다. CDMA 기술은 오랜 진통
끝
에 마침내 1996년, 세계 최초로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이 상용화하는 데 성공한다. 한편 퀄컴은 한국이동통신이 상용화를 위해 시행착오를 거치는 동안 이미 다음 수순을 준비하고 있었다. 기술이 완성된 마당에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슬릿1이 열리고 이어서 슬릿1과 2를 다 열고 다음에는 슬릿1이 닫히고 슬릿2만 열리고
끝
으로 슬릿이 다시 닫힌다. 이때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가 슬릿을 통과해 스크린에 도달하는 분포를 전자 입자 하나도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검출기로 측정한 것. 위쪽 사진 중 왼쪽은 슬릿이 이동함에 따라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러시아 유성체 폭발 현장을 영상으로 보면서 ‘그래 저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쳤다.
끝
으로 퉁구스카 사건을 묘사한 부분 일부를 옮겨놓았다. “1908년 6월 30일 아침은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했다. 아침 8시 집 앞 계단에 앉아있던 농부 세르게이 세메노프는 하늘에서 엄청난 폭발을 목격했다. 훗날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처럼 하젠욀도 사고실험을 통해 흑체복사와 질량의 관계를 연구했다. 하젠욀은 양
끝
이 흑체인 속이 빈 원통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고 이를 정지한 관찰자가 바라본다고 가정했다. 이 경우 원통의 이동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파장은 짧아지고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파장은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암허스트대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한 우즈는 기하학 문제를 증명하고 ‘q.e.d.(증명
끝
)’라고 쓸 때 행복감에 빠져드는 성향으로 생물학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당시 강사였고 훗날 저명한 저온물리학자가 된 빌 페어뱅크가 “너는 물리학 말고 지금 뜨는 분야인 생물리학을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는 1673년 불과 27살에 영국 런던왕립학회 회원으로 뽑혔다. 라이프니츠의 아이디어는
끝
이 없었는데 그는 완벽한 ‘보편 기호’ 체계를 만들면 우리의 모든 사유 과정을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 어떻게 보면 라이프니츠는 디지털 컴퓨터의 핵심 개념을 모두 생각해낸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