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뉴스
"
지목
"(으)로 총 1,0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세돌 “오늘의 패배는 이세돌의 패배, 인간이 패배한 것은 아니다”
동아일보
l
2016.03.12
이 9단의 실착에 알파고가 편하게 타개해 열세에 빠졌다. 이 9단이 국후 검토에서
지목
한 실수는 흑 21. 그는 참고 1도 흑 1로 뒀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흑 21로 둬 백의 탈출을 압박하려 했으나 백 24가 좋은 수여서 뜻을 이루지 못했던 것. 초반에 우세를 잡아야 후반에 강한 알파고를 이길 수 있는데 ... ...
美 싱크탱크 ISIS “北 영변서 삼중수소 자체생산”
동아일보
l
2016.03.12
있으며 여기서 삼중수소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ISIS가 삼중수소 출처로
지목
한 IRT는 옛 소련이 제공해 1965년 만든 실험용 원자로다. 당초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게 목적이었으며 2메가와트(MW)급 성능에 저농축우라늄을 원료로 사용했다. 저농축우라늄은 옛 소련이 ... ...
[알파고 vs 이세돌]이세돌, 제3국은 초중반에 승부 걸어라
2016.03.12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눈에 띄는 실수도 없었다. 백70도 아주 큰 자리라 한 눈에 패착으로
지목
하기도 어렵다. 그런데도 어느새 반면 10집 이상 차이가 났다. 그 과정에서 알파고가 보여준 중앙 처리나 끝내기 수순들……. 알파고는 두터움의 가치를 정확히 집으로 환산할 수 있는 것으로 밖에 볼 수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아세톤으로 바꾼다
2016.02.29
들어보이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으로
지목
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실생활은 물론 다양한 화학공업에 쓰이는 아세톤을 만드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우한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팀은 박테리아를 이용해 태양광과 이산화탄소에서 ... ...
[토요일에 만난 사람]“징그럽게 생겼다고요? 곤충이 90억 인류의 미래”
동아일보
l
2016.02.27
합니다. 2013년 유엔은 곤충이야말로 인간의 미래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이라고
지목
했습니다.” 이 고문은 2012년 1월 삼성전자 부회장 자리에서 상임고문으로 물러났다. 지난해 1월부터는 삼성전자의 ‘비상임 고문’이다. 이 고문은 현재 한국식용곤충연구소 수석고문, ... ...
영화 ‘마션’처럼 화성에서 감자 키울 수 있을까
2016.02.24
배양 접시 위에서 자라는 감자. - 국제감자센터(CIP) 제공 연구팀이 화성감자 후보로
지목
한 100종은 CIP에 등록된 감자 4500종 중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들만 꼽은 것이다. 재배에 성공하면 이 중에서도 가장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감자를 추려 향후 실제 화성에 가져갈 계획이다. 100종 중 40종은 ... ...
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
과학동아
l
2016.02.07
나왔다. 미국 유타대 데일 클레이튼 교수팀은 가장 큰 원인을 기생파리 감염으로
지목
했다. 기생파리는 새 둥지에 기생유충을 부화시키는데 어린 핀치새가 감염될 경우 치명적이다. 연구팀이 갈라파고스 제도 산타크루즈 섬에 사는 중간 크기 핀치새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기생파리가 지금과 같이 ... ...
[횡설수설/정성희]소두증과 지카 바이러스
동아일보
l
2016.01.30
14년만 해도 150명에 불과했던 소두증 신생아가 급증한 원인을 찾다 보니 지카 바이러스가
지목
된 거다. 그해 브라질에선 월드컵 축구대회가 열려 세계인이 몰려들었다. ▷브라질은 문자 그대로 패닉이다. 2월엔 우기가 시작돼 모기가 극성인 데다 리우 축제가 있고 8월엔 올림픽이 열린다. 경제와 ... ...
3D 프린터로 한옥 짓고 초임계 기술로 목재 건조
2016.01.29
24% 정도로 수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있었던 점을 부실 복원의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
했다. 다 마르지 않아 품질 미달인 목재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윤우 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팀은 초임계기술을 이용해 목재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는 기법을 개발 중이다. 전통적으로 목재를 자연 ... ...
눈폭풍 강타한 지구, 하늘 위에서 내려보니 잿빛 담요 깐 듯
2016.01.26
과학자들은 이번 폭설의 원인으로 올 겨울 북극의 해수 온도가 이례적으로 높다는 점을
지목
했다. 해수 온도가 높은 탓에 공기가 수증기를 많이 품었다가 북극 한파를 만나 중위도까지 내려와 많은 눈을 쏟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현재 북극은 지구온난화의 여파로 평년보다 일평균 10~15도,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