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허위
틀림
실수
과오
실책
실례
뉴스
"
오류
"(으)로 총 94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파가 맞다” vs “노이즈다”,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20
활용한 우주 영역의 정보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즉 연구팀의 데이터에
오류
가 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새로운 관측 정보는 아직 없다는 뜻이다. 코박 연구원은 “새로운 관측 데이터가 있으면 적극 수용하겠다”고 덧붙였다. 만약 전문가들의 지적처럼 잡음을 제거하는 데 문제가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하지만 동물실험 과정을 아무리 완벽하게 설계하더라도 동물실험에는 본질적으로
오류
의 가능성이 내재돼 있다. 실험동물의 생리가 사람의 생리와 100%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고전적인 사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진정제로 쓰인 탈리도마이드의 경우 동물실험에서는 부작용이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③
과학동아
l
2014.04.17
중에서도 순수 수학 관련 분야에 매진했지만 넘기 힘든 벽을 느끼고 프로그램의
오류
를 검증하는 분야로 방향을 틀었다. 그는 “후배 연구자들도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막막한 벽이 느껴지면 단순히 포기하거나 돌파구가 나타나길 기다리지 말고 다른 방향을 물색하는 것이 때론 현명할 수 ... ...
논문 표절 막을 단 하나의 방법!
과학동아
l
2014.04.09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2012년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에 게재했던 논문에서
오류
를 발견한 뒤 자진 철회한 것과 같은 사례가 자주 일어나진 않는다는 말이다. 현재 뜨거운 이슈인 오보카타 주임의 STAP세포 논란도 ‘퍼브피어(Pubpeer)’라는 논문사후검증 사이트에서 먼저 시작됐다. ... ...
덩컨 로스 “빅데이터가 건강 관리해주는 시대 곧 올것”
동아일보
l
2014.03.21
한다”고 말했다. 최근 빅데이터의 신뢰성에 의문을 던진 구글의 독감트렌드 예측
오류
에 대해 “빅데이터의 신뢰성이 아닌 분석 기법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구글이 ‘검색용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답을 찾기 위해 진행한 시도의 하나일 뿐이라는 소리다. 그는 ... ...
아인슈타인 예측한 중력파로 우주 급팽창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19
오페라(OPERA)팀이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실험결과를 성급하게 발표했다가 나중에
오류
가능성을 인정했던 사례가 있는 만큼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다 ... ...
14년만의 집단휴진…원격진료가 문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3.10
또 고객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유전자 분석 서비스가 유전자 분석결과
오류
로 인한 공중위생관리상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FDA가 정한 규제를 따르도록 했지만 23앤드미가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소 벤처의 이 관계자는 “일반인들이 유전체 분석을 해보고 싶을 때 의사를 ... ...
교과서 왜곡 논란, 수학교과서도 예외 아니다
수학동아
l
2014.03.07
지난해 시작된 한국사 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이 아직까지 뜨거운 가운데, 수학교과서에도 역사 왜곡을 비롯한 내용
오류
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중학교 수학 ... 황금비를 둘러싼 여러 가지 오해, 잘못된 수학자의 업적 등 중학교 수학교과서 속 내용
오류
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다 ... ...
황우석의 악몽, 日에서 재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논문에서 같아 보이는 태반 이미지가 중복돼 다르게 제시돼 논란이 불거졌다. - 네이처 제공 최신 줄기세포 연구 결과가 조작됐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돼 학계의 비 ... 악몽’이 재현되는지에 대해 학계의 관심이 집중됐었지만 조사 결과 기술적인 작은
오류
로 판명 난 바 있다 ... ...
영재수업의 비법은 바로 이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2.17
전시물이 우리 생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적는 것이었다. 김태민(서울
오류
초 6) 학생은 "사전 조사를 위해 내용을 공부한 후라 과학관 전시를 볼 때 더 이해하기 쉬웠다"며 "알고 있는 내용이라 그런지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전시 내용이 이해도 잘 되고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고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