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83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07.14
테스트’를 거친다. 개발자들이 게임을 직접 하면서 밸런스가 맞지 않는 부분을 찾아
수정
한다. 밸런스가 좋은 맵에서는 유저들의 동선이 꼬이지 않아 헤매지 않고 도착점까지 갈 수 있다. 만약 유저들이 맵 안에서 어느 길로 가야할지 몰라 헤맨다면 게임의 흐름이 끊어진다. 물론 이정표를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200만 년 이전 흔적이 발굴됐다. -사진 제공 네이처 인류 이동에 관한 기존 정설도
수정
될 가능성이 있다. 기존 이론에서는 호모 에렉투스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아시아에 진출한 첫 인류였다. 호모 에렉투스는 키가 현생인류인 우리와 비슷하고 두뇌 크기도 현생인류의 최소 3분의 2 이상으로 큰 ... ...
진짜 탐정의 세계…국내 첫 탐정학과 수업 들어보니
과학동아
l
2018.07.10
크롤러를 개발하기도 한다. 운영체제 역시 윈도우가 아닌 리눅스를 사용한다. 코드
수정
이 가능한 리눅스는 자료 검색에 더 적합한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과학동아 2018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않는다. 이런 식으로 세포들이 분열해 최대 50개로 이뤄진 공 모양의 군체를 이룬다.
수정
란이 발생과정에서 분열하는 것이 연상된다. 반면 개별 세포는 절대 하나로 뭉치지 않는다.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이 지금까지 동물에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유전자들을 370여 개나 갖고 ... ...
이번엔 여왕개미까지...인천항에서 또 붉은불개미 군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7
입장이다. ● 붉은 불개미 어떻게 번식하나 공주개미는 여왕개미가 되기 전 아직
수정
을 하지 않은 암개미를 말한다. 공주개미는 수개미와 하늘로 올라 짝짓기 비행을 한다. 이들은 수 km까지 날아갈 수 있다. 이후 공주개미와 수개미가 지상에 떨어져 개미집을 형성하고 군집을 이뤄간다. ... ...
'하트시그널'로 본 연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07.07
있는 것도 마찬가지다. 촉각은 인간이 가진 오감 중에서 가장 먼저 발달하는 감각이다.
수정
된 지 3주 이내에 피부세포와 뇌세포를 연결하는 원시 신경계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강력한 의사소통의 형태인 동시에, 유대감 형성에 좋은 방법이 스킨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스킨십은 때로 불쾌감을 ... ...
‘크리스퍼’ 응용해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형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7.06
설계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세포가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유전자 가운데,
수정
직후 인간 배아를 제어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켰다. 그 결과 피부세포를 초기 배아와 비슷한 수준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로 다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일본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의대 교수가 ... ...
코뿔소
수정
란, 체외 배양 최초 성공...멸종위기 막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05
종은 난자나 정자 확보가 어려워
수정
란 체세포 복제는 물론 (위 연구처럼) 당장
수정
란 합성을 시도하기도 어렵다”며 “체세포를 통해 줄기세포를 얻는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이 발달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
과학동아
l
2018.07.02
그런데 최근 지상 실험과 비교해 데이터를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이 수치가 40~50%로
수정
됐다. 유기물이 예측했던 양보다 훨씬 더 많이 존재하는 셈이다. 참고로 세레스에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물(얼음)도 상당량 존재한다. 연구팀은 유기물이 세레스 내부에서 형성됐거나, 또는 유기체가 ... ...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성 자폐증 누그러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6
중이며, 그 중 52개가 규명된 상태다. 유전자 편집 기술로 이런 지능 관련 유전자를
수정
해 자폐증을 치료하려는 움직임이 한창이다. 최근 동물실험을 통해 3세대 유전자 편집기라 불리는 ‘크리스퍼 캐스(CRISPER-CAS)9’의 유전성 자폐증 치료 효과를 처음 입증한 연구가 나왔다. ‘크리스퍼-캐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