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뉴스
"
분화
"(으)로 총 902건 검색되었습니다.
피 만드는 세포의 ‘보디가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6
막는 핵심 유전자를 찾았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이를 이용하면 조혈줄기세포 생성과
분화
를 조절해 암이나 노화를 억제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셀’의 자매지 ‘셀 메타볼리즘’ 2일자 온라인판에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실렸다. ... ...
동물 몸속에서 인간장기 생산 연구
동아일보
l
2013.07.09
특정 장기를 만들 수 없게 한 동물의 배아(수정란)에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체세포 역
분화
줄기세포·iPS)를 주입한다. iPS가 배아 안에서 인간의 장기로 어느 정도 성장하면 이 배아를 동물의 자궁에 다시 주입해 인간의 장기를 몸에 지닌 새끼를 낳게 한다. 일본에서는 도쿄대의 나카우치 히로미쓰 ... ...
충돌의 비밀, 방정식으로 알아낸다
수학동아
l
2013.06.18
연구에도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으로 뒤덮인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서는 운석 충돌
분화
구로부터 밖으로 뻗은 균열이 관측된다. 이런 균열 패턴을 통해 유로파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기사 출처 : 수학동아 ... ...
머나먼 수성
동아사이언스
l
2013.06.18
수성 표면에는 바하(Bach) 크레이터를 비롯해 수많은 크레이터들이 눈에 띈다. 많은
분화
구들이 중앙이 뾰족하게 솟아있고 근처에 한칸(Han Kan) 크레이터의 밝은 선이 있는데, 이 또한 수성과 달이 다르다는 증거가 된다. MDLS는 일주일에 한 번 씩 수성의 남반구 주변을 중심으로 사진을 촬영해 수성 ... ...
[헬스&뷰티]관절 고치는 ‘골형성단백질’ 국내 최초 개발
동아일보
l
2013.06.05
주입하면 중간엽 줄기세포(성체줄기세포의 일종)가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와 연골세포로
분화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때문에 이 단백질을 치과에서는 임플란트 치료를 할 때 잇몸 뼈를 재생하는 데 사용한다. 정형외과에서는 뼈나 연골이 손상된 부위에 주사해 부러진 뼈를 서로 붙이거나 손상된 뼈 ... ...
대멸망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05.27
폭발 때문이라는 가설도 있다. 이용재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슈퍼 화산
분화
는 희박하기는 하지만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화산 연구자가 소수에 불과하다는 것. 대한지질학회 부회장인 조문섭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백두산 폭발에 ... ...
[채널A] 美, 배아줄기세포 복제 첫 성공…맞춤형 치료 ‘청신호’
채널A
l
2013.05.19
매우 효율적으로 줄기세포를 만들어냈습니다. 배아줄기세포는 인체의 모든 세포로
분화
할 수 있어 난치병 치료제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고장 난 세포 대신 배아줄기세포로 건강한 새 세포를 만들어 대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동률 / 차의과대 통합줄기세포치료연구소 부소장] ... ...
美 연구진, 황우석 시도한 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다 자란 피부세포를 배아 상태로 되돌려 모든 조직으로
분화
할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만드는 데 성공해 줄기세포 연구에 새로운 물꼬를 텄다. 더군다나 iPSc는 난자를 쓰지 않아 윤리적 문제가 없으면서도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지난해 ... ...
시장 적합성 가진 연구로 BT 활성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토론회를 열었다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줄기세포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만능세포다. 이 때문에 난치병 정복이란 기대감에 세계 각국은 줄기세포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실제 세계 줄기세포 시장은 해마다 평균 23.5%씩 성장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70조 원, 국내는 ... ...
“金나노입자, 상처치유 늦추고 당뇨 유발” 美 미로나바 교수팀, 학술지에 발표
동아일보
l
2013.05.03
쌓이는 것을 발견했다. 나노 입자들이 쌓여 유전자 발현을 방해함으로써 지방 세포로
분화
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세포의 움직임도 느려지고 콜라겐 단백질이 수축하는 등 상처 치유 과정에도 문제가 생겼다. 또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고 지방산의 분해를 돕는 ‘아디포넥틴’ 단백질 생산도 줄었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