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뉴스
"
배터리
"(으)로 총 1,468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 가성비 국산 ‘로봇의족’ 개발했어도 “살 사람 없네”…보조금 13년째 동결
2018.12.12
개발한 스마트 로봇의족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자동·수동 모드를 손쉽게 전환하거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 과천=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연구진은 김정원 중사와 김진곤 씨에게 첫 상용제품을 기증하기로 했다. 김 씨는 주치의의 권유로 2015년 초기 단계부터 착용 시 성능 검증 등 ... ...
NASA·칼텍·혼다 삼각동맹, 전기차 주행거리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게티이미지뱅크 미국과 일본의 연구진이 힘을 합쳐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
보다 8배 이상 큰 용량을 가진
배터리
를 개발했다. 리튬 ... 단계지만 실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첫 플루오린
배터리
”라며 “인류가 더 오래 가는
배터리
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 ...
나노입자로 리튬이온전지 용량 30%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구조는 이산화티타늄뿐 아니라 모든 나노입자에 적용가능하다”며 “나노입자를 활용해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린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ACS)’ 11월 2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금속공기전지 효율 높여줄 새 복합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탄소재료 복합촉매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차세대 고용량
배터리
로 손꼽히는 리튬-공기전지의 공기극에 값싼 재료로 고성능 촉매를 적용하게 되면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11월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여우각시별' 드라마 속 웨어러블 로봇팔 현실로 성큼
과학동아
l
2018.12.01
하지만 헐크는 부피가 너무 커 생각보다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했고, 전력이 많이 필요해
배터리
무게가 늘어나면서 이를 착용하는 군인에게 더 부담이 됐다. 올해 록히드마틴은 이를 개선해 ‘오닉스(ONYX)’라는 하체 웨어러블 로봇을 공개했다. 오닉스를 착용하면 허리와 다리에 무리가 가지 ... ...
‘누리호’ 엔진 검증용 시험발사체 어떻게 발사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PLO)가 시작된다. 발사체에 탑재되는 전자 장비들의 전원은 지상 전원에서 내부
배터리
로 전환된다. 항우연 관계자는 “만약 자동시퀀스 중 문제가 발생하면 발사는 자동 정지된다”고 설명했다. 이상이 없을 경우 발사 4초 전 엔진 시동 명령이 내려지며 엔진 추력이 90% 이상 도달하면 발사 0.1초 전 ... ...
소방관들이
배터리
과충전 '화재 패턴' 밝혔다
연합뉴스
l
2018.11.28
제공=연합뉴스] 연구팀은 이 결과를 2016년 전동킥보드 화재 사례에 분석했다. 당시
배터리
캔에 구멍이 나 있었는데, 전기적 발열(과충전 등)에 의한 용흔(푹 파인 흔적)이란 감정이 나왔다. 그러나 실제론 구멍이 전기적인 요인보다는 가스 폭발의 높은 '순간 압력' 영향으로 발생했다는 게 연구팀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염물질 배출·소음 없는 ‘이온 항공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개발한 이온 드라이브 항공기는 날개 폭 5m, 무게 2.45㎏인 고정익 항공기로, 500W(와트)급
배터리
를 탑재했다. 연구진은 10번의 시험비행을 통해 실내에서 이 비행기를 평균 고도 0.47m 수준으로 비행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온 드라이브 항공기의 이온 바람 생성 원리. - 자료: 네이처 항공기에는 ... ...
액체연료 안쓰는 100% 이온추진 항공기 첫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설계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체 디자인을 마쳤다. 또 원격으로 작동하는 200V~40㎸의
배터리
를 이용해 전기장을 만들고 이온의 흐름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수백번의 시도를 했지만 스스로 이륙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새총 모양의 발사 장치를 고안했고, 이를 통해 약 50㎝의 높이에서 약 10초간 6 ... ...
[미래융합포럼] 융합과학 현 주소…시민과 소통하는 과학의 미래(종합)
2018.11.21
정 단장은 “앞으로는 안정적인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고체형 전지가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로 각광 받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양대 생체공학과 임창환 교수도 “혁신 기업가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도, 구글도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뇌에 심는 전극을 만들 수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