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유"(으)로 총 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혈관 속까지 검사하는 내시경 나온다면?과학동아 l2014.06.11
- Human Body: 내시현미경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오 교수는 빛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해 질병 부위를 영상화하는 시스템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최근 각광 받고 있는 OCT 기술의 실제 적용사례를 살펴 볼 예정이다. 이에 앞서 임창빈 대전 둔원고 교사는 ‘금요일에 과학터치 ... ...
- 마요라나 입자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4.06.08
- 입자는 인류가 최초로 찾아낸 스핀이 0인 입자다. 스핀은 극성이나 질량 같은 입자의 고유한 특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전까지 인류가 찾은 모든 입자들의 스핀은 1(광자) 아니면 1/2(페르미온)이었다. ‘네이처’ 4일자 온라인판에는 스핀이 0인 입자에 이은 또 하나의 새로운 입자를 찾으려는 ... ...
- 사스보다 치명적인 메르스, 한국에도 확산되나과학동아 l2014.05.12
- 연구사는 “이 바이러스가 중동 지역에서만 주로 발견된다는 점에 비춰볼 때 그 지역 고유의 풍토병일 가능성이 높다”며 “중동 지역을 다녀온 유럽과 미국인들의 감염 사례가 보고 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입출국 승객을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땀구멍 지도’로 범인 잡는다과학동아 l2014.04.30
- 있는지가 등고선 모양의 지도로 표시된다. 땀구멍 지도는 지문의 무늬처럼 개인마다 고유한 패턴을 지니고 있다. 이번 연구는 땀구멍의 배열을 빠르게 감지해 지도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지문 분석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을 얻고 있다. 김 교수는 “개인의 땀구멍 지도에 대한 ... ...
- 한우 혈통,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안다 과학동아 l2014.04.14
- 전송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보증씨수소 정액이 담긴 스트로우 표면에 인쇄된 고유 바코드를 휴대용 리더기로 찍어 앱(app)으로 전송하면 국립축산과학원 데이터베이스(DB)에 곧바로 저장 가능하고, 현장에서 휴대용 프린터로 가축인공수정증명서를 출력·발급할 수도 있다. 또 한우 ... ...
- 거실 유리로 TV 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04.14
- 차세대 투명디스플레이의 핵심소재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외부의 빛과 전기를 가하면 고유 특성을 잃어버려 실제 디스플레이 제품에 응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디스플레이 컬러 필터를 활용해 반도체 소자에 영향을 주는 47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이하 파장대역을 차단해 내부 ...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과학동아 l2014.04.08
- 17만 개를 비교했다. ‘SNP’는 생물체가 갖고 있는 염기서열 가운데 다른 생물체와 다른 고유의 특징을 결정짓는 극소수의 변이를 말한다. 그 결과, 14개의 SNP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염색체 1번에서 3개, 2번에서 4개, 12·19번에서 2개, 6·10·16번에서 1개 등 총 14개가 달랐던 것이다. ... ...
- 식물에 있는 '쓰레기 DNA'가 알고보니 '보배'과학동아 l2014.04.06
- 프릴링 교수팀은 식물의 진화 과정에서 서로 공유하는 비유전자 DNA가 있으며 저마다 고유한 기능을 지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진화적으로 거리가 먼 애기장대와 매발톱꽃의 유전체를 비교한 결과, 서로 공유하는 비유전자 DNA 서열을 211개나 발견했다. 두 식물은 1억3500만 년 전에 공통 ...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쎈 놈' 온다과학동아 l2014.04.02
- 응용이 활발하다. 일반 캔틸레버는 굉장히 매끄러운 2차원 평면 구조로 이뤄져 물질의 고유정보가 담긴 광학 신호(라만 산란 신호)의 증폭이 일어나지 않았다. 또 평면이 매끄러운 만큼 표면적이 좁아 민감도가 낮고, 작은 분자가 탐침에 붙었을 때는 공진주파수의 크기 변화도 작아 ‘물질이 ... ...
- 본격화되는 ‘생물자원전쟁’ 韓 참전 시기는?과학동아 l2014.03.28
- 역수입되고 있다. 생물자원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시절 이처럼 수많은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이 외국으로 반출됐다. 다행히 생물자원에 대한 국가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생물다양성협약이 1992년 체결되면서 우리나라도 국내 생물자원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오히려 이제는 외국 생물자원을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