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족
충만
만족
흡족
배가득
만복
넉넉함
d라이브러리
"
충분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문제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야. 실전에서 긴장하거나 실수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
히 연습을 하고 들어가야지. 무엇보다 성적을 올리는 게 가장 시급한 목표야. 특히 수학과 과학은 최선을 다하도록 해. 이공계 꿈을 키우는 네 자존심을 걸고 가장 좋은 성적을 내도록 말야.” 상담 선생님의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없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느꼈다고? 좋아! 그렇다면 나의 초대장을 받을 자격이
충분
해. 두근두근~. 나와 함께 직접 뉴칼레도니아로 가서 자연을 탐험하게 될친구는 누가 될까? 초대장을 보고 싶다면 얼른 다음 장을 넘겨 봐! ”특별 인터뷰세계자연유산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올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방법으로 지능을 흉내 내는 기술 위주로 발전하게 된다. 이 방법으로도 제한된 상황에선
충분
한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다. 이미 체스 세계 챔피언이던 가리카스파로프가 IBM의 슈퍼컴퓨터 ‘딥블루’와 체스 시합을 벌여 패배한 게 1997년이다. 체스 게임에선 컴퓨터가 인간보다 지능이 높다고 볼 수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용한 재생법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종 장기 기술은
충분
한 공급량을 확보할 수 있고, 환자에게 맞춤형 장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부족 문제를 가장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장기 기증자를 찾지 못한 신장병 환자가 인공신장을 이용해 혈액 투석을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효과에 대해 검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 결과 한의사는 소위 ‘비방’이라는 치료법을
충분
한 임상 테스트도 거치지 않은 채 곧바로 환자에게 적용할 수있다. 환자로서는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에 돈과 시간을 낭비하는 셈이다. 상식적인 지식과 대치되는 주장도 한의학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단히 재미있는 특성을 많이 갖고 있거든요.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위해 연구할 가치가
충분
하죠.”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물질의 네 번째 상태인 플라스마는 다른 상태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이 많아 산업에 응용하기 좋다. 예를 들면 반응성이 높고 미세한 가공이 가능하다. 그래서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것은 성인 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부모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와 동기를 주기에
충분
했다. 그렇다면 이제 과학동아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IT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콘텐츠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저장, 복제 기술이 발달하면서 콘텐츠가 너무나 값싼 상품으로 전락했다. 이로 인해 ... ...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만들지 못하는 등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며 “크기 4cm 정도의 작은 피부 조각만 있으면
충분
한 양의 혈액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전에는 수혈을 할 때 부작용이 많았다. 자신의 혈액이 아니므로 같은 혈액형이라 하더라도 드물게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간염, 에이즈 등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특허가 큰의미가 없었다. 크기를 키우거나 약간의 기술 변형만으로도 세계시장에서
충분
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 총장은 중국이나 남미권 국가 등이 급부상하고 있어 이 같은 성장은 이미 한계에 부딪혔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는 “KAIST가 최근 몇 년간 집중해 온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느끼지 못하고 그저 ‘쓰다’고만 느끼는 걸까.몸에 해로운 물질은 쓰다는 정보만 주면
충분
하지(어차피 뱉어낼 것이므로) 물질마다 다른 식으로 쓰게 느낄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대뇌피질의 미각중추로 쓴맛의 정보를 전해주는 미뢰의 세포에서 여러 쓴맛 수용체가 동시에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