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보드미가 치료 장치는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피해자들을 모니터링하고 상태가 나빠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 목적이라는 것이다. 보드미가 제 기능을 발휘한다면 현재 법무부에서 운영 중인범죄 피해자 지원 제도와 함께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 현재 법무부에서는 강력범죄 피해자들의 심리적 ...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효소가 활성화되어 끝 부분이 계속해서 복제됐고, 그 결과 바닷가재의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는다고 분석했답니다.과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생물학적 영생’이라고 불러요. 생물학적 영생이란 어떤 생명체가 늙어서 죽는 ‘자연사’를 하지 않는 걸 말해요. 따라서 사고가 나거나 다른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독자라면 누구나!(정기구독자 우선 선발)지원 기간2017년 1월 15일 ~ 2월 28일까지지원 방법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kids.dongascience.com)에서 온라인으로 접수※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세요.문의02-3148-0812, 0728 / kids@dongascience.com참가비무료● 특별한 혜택현장교육이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조상이 같은 ‘형제’ 관계라고 밝히기도 했죠. 다만 늑대는 개와 달리 사람에게 길들여지지 않아요. 오히려 사람과 활동영역, 먹이 등이 겹치는 경쟁상대랍니다.늑대와 마찬가지로 개과(科)에 속하는 코요테는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의 평원에서 주로 살아요. 생김새가 늑대와 상당히 비슷하고 ...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통계). 만성통증은 이유 없이 두통, 요통 등 통증을 느끼는 병으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도 어려웠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통증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정은지 연세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시상신경세포가 과하게 활성화되면 이를 억제하는 음이온채널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WHO는 특히 H3N2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예측하는 데 애를 먹었다.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H1N1에 비해 변이가 잦고 치사율이 높은 H3N2 바이러스는 예측하기가 더욱 어렵다. 예를 들면 WHO는 텍사스에서 처음 발견됐던(텍사스스트레인) H3N2 바이러스(A/Texas/50/2012)와 비슷한 주가 2014~2015년에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단백질의 머리 부분을 없애고 줄기 부분이 제 모양을 잃지 않도록인위적으로 지지한 뒤, 공처럼 뭉치는 성질을 가진 생체 단백질 페리틴에 붙였다.하나일 때보다 크기가 크고 줄기 부분도 여러 개 붙어 있어, 면역반응이잘 일어나고 면역원성도 강해진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제프리 보잉턴 ... ...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 탐사에 비해서 지하로 6400km만 내려가면 되는 지구 탐사는 쉬울 것처럼 느껴지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답니다.땅을 깊게 팔수록 온도와 압력이 어마어마하게 올라가기 때문이에요.외핵이 있는 3000km까지 내려가면 온도는 4000℃까지 올라요. 내핵의 중심부까지 들어가면 온도는 6000℃가 ...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다만 약자가 비교적 쉽게 자신의 주관을 밀어붙일 수 있는 상황이 있는데 “다른 사람을 지지하기 위해 이야기할 때와 전문 지식이 있을 때, 해당 분야에 열정이 있을 때”였다(doi: 10.1177/0146167206294413).만약 누군가의 무리한 부탁에 주관 없이 휘둘리고 있다면, 전문지식과 열정을 쌓아보자. 괜찮은 ... ...
- Part 4. 맨틀 속 신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아직 LLVP의 구성성분이나 밀도, 발생원인 등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답니다.심상헌 교수는 “정체불명의 LLVP는 지구가 탄생한 시기부터 존재했던 원시 물질일 수도 있고,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만들어진 물질일 수도 있다”며, “LLVP의 정체는 지구의 탄생 과정을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