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침
광기
정신착란
정신병
d라이브러리
"
정신이상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지난 4월부터 6월초까지 전북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 앞바다에서 12세기경 고려청자 2천3백여점이 대량 인양됐다. 우연히 한 어부의 눈에 뜨여 그 존재가 확인된 비안도 앞바다의 고려청자. 비안도 앞바다는 말 그대로 청자의 보고(寶庫)였다. 2002년 4월 25일, 고려청자 확인 사실이 언론을 통해 처음 ... ...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인간의 유전정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생물의 게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연구 대상은‘침팬지’의 게놈이다. 침팬지의 게놈 속에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는지 살펴보자. 인간게놈프로젝트의 목표는 인간의 ... ...
범죄심리학으로 풀어본 택시 연쇄살인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지난 4월 30일 자신의 승용차를 이용, 밤 늦게 귀가하는 여성을 상대로 금품을 갈취한 뒤 무참하게 살해한 연쇄살인사건의 용의자가 검거됐다. 밝혀진 범행동기는 8백만원의 카드빚.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간다. 하지만 범죄심리학적으로는 이들의 심리상태를 밝힐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최근 연이어 ... ...
4. 불교와 물리학의 기막힌 인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자연과학과 불교는 분명 다르다. 하지만 시야를 조금만 넓히면 공통점이 보인다. 물리학과 불교가 만나는 기막힌 인연과 여기에 숨겨진 좀더 큰 뜻을 알아보자.현대과학과 불교라는 두가지 정신활동은 다루는 내용이 다르고, 시간적으로도 2천5백년이라는 간극이 존재할 뿐 아니라 문제에 접근하는 ... ...
SF영화, 그리고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지난 4월 SF영화의 고전 ET(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1982)가 제작 20주년을 맞아 재개봉됐다. 못생긴 얼굴과 기괴한 생김새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어린이들의 친구로 꾸준한 인기를 얻었던 ET. ET는 인간에게 위협적이고 부정적인 존재로 인식됐던 외계인을 지구인의 친구로, 그것도 어린이의 친구로 받아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최근 탄탄한 SF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애니메이션‘공각 기동대’가 국내에 개봉됐다. 공각기동대는 이후 등장한 수많은 사이버펑크 영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 한 작품인 영화‘매트릭스’와 공각기동대의 면면을 살펴보자. 얼마 전 일본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가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신종 마약인 엑스터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엑스터시 복용여부를 밝히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새로운 모발 검사기법이 개발돼 엑스터시 전쟁의 최전선에 배치됐다. 그 활약상을 살펴보자.요즘 연예인들이 신종 마약 ‘엑스터시’를 복용한 사건으로 떠들썩하다. 벌써 ... ...
위대한 과학자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0세기 최고의 과학자로 불리는 아인슈타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그의 첫번째 아내였던 밀레바 마리치와의 비밀스런 일화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신격화된 과학자’아인슈타인.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또다른 모습을 살펴보자 17세기에 독일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라이프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최근 개봉된 영화‘뷰티풀 마인드’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존 내쉬의 정신분열증 극복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린다. 그리고 몇해전 개봉됐던 영화‘굿 윌 헌팅’은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천재의 정신 치유 과정을 통해 인생의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지방의 ... ...
과기부장관 인터뷰 이공계 진학 지금이 기회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과학기술부 장관은 이공계 기피 문제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청소년 과학교육 문제부터 과학기술인들의 처우 개선 문제까지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이공계 기피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일반인의 오해와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