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d라이브러리
"
위로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한 수 배우려고 왔답니다. 소똥 위에서 춤을 춘다며?저는 가끔씩 ‘소똥 공’
위로
올라가 좌우로 빙빙 돌아요. 이걸 보고 스웨덴의 에밀리 바이어드 교수가 ‘춤을 춘다’라고 말하더군요. 제 춤을 보고 싶으면 제가 소똥을 굴리고 가는 걸 조금만 관심 있게 보시면 돼요.거꾸로도 일정한 방향으로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배를 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인 부력 덕분이다. 지구에서 배를 잡아당기는 중력과, 물
위로
띄우는 부력의 크기가 같으면 두 힘이 평형을 이루면서 물에 빠지지 않는다.여객선의 경우 빈 배의 상태로 물에 띄워 놓으면, 배 자체의 무게에 작용하는 중력과 부력이 평형을 이룬다. 그런데 여기 승객과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타이타닉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기는 어려울 듯하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침몰 사건의 주인공인 타이타닉은 아직도 비극의 장소에 그대로 머문채 자신의 뒤를 이은 거대 선박이 대양을 활보하는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다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효소로 우유의 단백질을 굳게 만든다. 위의 아라비아 상인 이야기에서도 우유가 양의
위로
만든 물통에 들어 있다가 치즈가 됐다. 우연히 렌넷이 작용해 우유가 굳었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우유가 굳은 뒤에는 자르기, 성형, 냉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시장에 내놓는다. 자연치즈의 성분은 유지방과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구멍뚫린
위로
소화 연구1833년에 발표된 ‘위액과 소화생리학에 관한 실험과 관찰’은 오늘날 고전처럼 읽히는 논문이다. 이유는 저자인 윌리엄 보몬트 박사가 직접 눈으로 보면서 썼기 때문이다.1822년 6월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있는 매키닉 요새에서 총알이 날아왔다. 그 총알은 병사 알렉시스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12.5μm밖에 안 되는, 둥근 모양의 플라스틱 필름을 너비가 10.2cm인 원통 안에 넣고 그
위로
피스톤을 눌러 필름을 구기는 것이었다. 이 필름의 이름은 마일라(Mylar)로 알루미늄을 덧댔다.연구팀은 누르는 힘에 따라 마일라가 담긴 원통의 높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측정했다. 한번 구겨진 마일라를 좀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가라앉는다. 뒤쪽 주머니의 공기를 앞으로 밀어 앞쪽 주머니를 더 크게 만들면 물고기는
위로
나아간다. 반대로 앞쪽 주머니의 공기를 뒤로 밀어 뒤쪽 주머니를 더 크게 만들면 물고기는 아래로 내려간다. 어떤 물에서 사느냐에 따라 부레에 모아두는 공기의 비율이 다른데, 대개 민물에 사는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시간을 세는 대신 순간을 기록한다. 글리세린과 파란 물감을 섞은 물방울을 거울
위로
떨어뜨리니 길게 벌떡 일어났다.]비눗물과 크림으로 만든 물방울 조각“저는 사진을 찍는 게 아니라 물방울을 조각(liquid sculpture)하고 있어요. 물이 어떤 모양으로 튀어 오를지 정확하게 예상할 수 없지만,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명단을 몇 번이고 봤지만 제 이름이 없는 거예요. 하늘이 노랗더군요. 3수하면 된다고
위로
하시는 아버지와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2지망으로 지원한 화공과 합격자 명단을 봤습니다.”여기서 자신의 이름을 발견하고 자신도 모르게 괴성을 질렀다는 서 교수는 이때의 기쁨을 결코 잊을 수 없다고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으로 나타났어. 도망치기 위해선 일단 포식자를 잘 봐야 하거든. 실험에서는 1/30초 단
위로
송사리의 위치를 좌푯값으로 표현해 이동을 수치화했어. 이 연구 결과는도망치는 물고기를 몰아서 잡는 ‘함정 어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해.하지만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더 큰 이유는 따로 있어.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