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매스토랑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입맛을 가진 사람을 위한 음식을 제공합니다. 안용
열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교수님의 도움을 받아 전 세계의 요리를 분석했지요. 안 교수님은 공통된 맛 조합을 가진 재료를 합치는 조리법이 모든 나라에 똑같이 적용되고 있는지 의문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온라인에 ... ...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톈궁 1호는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마찰에 의해 상당 부분 불타 사라질 거예요. 하지만
열
에 강한 일부 부품은 타지 않고 그대로 떨어져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지요. 따라서 과학자들은 톈궁 1호가 언제 어느 지역으로 떨어질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답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 ...
[과학뉴스] 러시아, 소행성 폭파 실험 진행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소행성 모형에 레이저를 쪼여 폭발을 일으켰더니 실제 소행성 폭발 과정에서처럼
열
과 압력이 발생해 퍼지는 것을 확인했다. 블라디미르 유파 모스크바 물리기술연구소 응용물리학과 레이저시스템 및 구조재료학과 교수는 “향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소행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모델링할 수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이유다. 박하를 먹었을 때 속이 뻥 뚫리는 듯한 청량한 매운맛은 ‘멘톨’ 분자가
열
감지수용체인 ‘TRPM8’에 붙기 때문이다. 이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약 26도 이하의 차가움이 느껴진다. 압력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아니어서 통증은 느껴지지 않는다. 멘톨 분자는 마늘이나 고추냉이를 먹었을 때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하지만 흰자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구형에 가까워서 이런 효과를 얻기 힘들죠. 또
열
에 의한 변성과 변성된 단백질이 불규칙하게 뭉치면서 전반적으로 단백질이 균일한 구조를 갖지 못합니다. 삶은 계란의 흰자가 쉽게 으깨지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계란 단백질이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중 5가지 정도를 조합해 차단합니다(유기 자외선차단제). 유기화합물이 자외선B를 흡수해
열
에너지로 분산시키는 원리죠. 자외선차단제에는 이런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유기 자외선차단제가 둘 다 들어 있습니다. 조합하는 방법이 다양한데요, 만약 실내에서 주로 생활한다면 자외선B와 관련된 ... ...
[동아리 탐방] 대전제일고 M.S.G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열
의 아홉은 선배가 추천해서 동아리에 들어왔다. 졸업해도 동아리에서 부르면 한 걸음에 달려온다. 동아리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M.S.G’ 학생들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 게 어지간히 재밌었나 보다. 졸업해도 동아리에서 부르면 단숨에 달려오겠다는 M.S.G 학생들의
열
정을 응원한다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연구해왔다. 그 결과 요각류에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 카탈라아제 등 항산화효소와
열
충격 단백질을 확보했다. 극한 환경에 서식하는 극지 생물자원에는 ‘제2의 라말린’이 수두룩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대사체를 활용하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출물 및 대사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 ...
[교과연계수업] 얼음 위의 물리학, 컬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조절이 가능합니다. 선수가 빗자루로 얼음 위를 쓸어내는 스위핑(sweeping)을 하면, 마찰
열
로 순간 수막이 만들어져 스톤의 속도와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1. 대상 : 동계올림픽의 경기 종목중 하나인 컬링에 담긴 과학 원리가 궁금한 학생이라면 누구나.2. 제목 : 얼음 위의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남극대륙을 감싸고 도는 서풍 제트기류가 더 세지고, 그로 인해 저위도로부터의
열
전달이 약화돼 서남극과 동남극에 각각 다른 추세가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김 책임연구원은 “서남극에 있는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관측한 자료와 동남극의 시작 지점에 있는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