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이"(으)로 총 2,6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전설(Clan of the Cave Bear)'이라는 영화에 나온 얼굴의 특징이다. 이 영화에 서 현생인류 여자아이 '에이라'는, 우연히 네안데르탈인 들과 함께 살며 그들의 '미개한' 삶에 한 가닥 밝은 빛을 비춰준다. 영락없는 북서 유럽인의 얼굴을 한 영화 속 에이라는, 당시 학계와 사회가 모두 생각하던 현생인류 의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판단할 만큼 충분히 똑똑하거나 윤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킬러로봇이 아이와 어른 여부, 총을 들었는지 여부, 군복을 입었는지 여부 등 3가지 항목으로 민간인과 군인을 비교하도록 프로그래밍 됐다면, 장난감 총을 들고 짙은 녹색 옷을 입은 소년을 군인으로 오인해 사격하기 쉽다.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토론을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으로 꼽았다. AlphaCarbon팀을 지도한 김윤이 교사는 “아이들이 서로의 연구가 어떤 식으로 이뤄졌는지 이야기 나누는 모습이 가장 특별했다”며 “앞으로 더 많은 학생에게 이런 기회가 제공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참가학생들은 무엇보다 좋은 친구들을 만나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어디를 가든 땅 파고 물 빼면 나오는 데…." 그는 모래톱에 사는 생물들을 종종 '아이들'이라고 불렀 다. "4대강 공사를 하면서 모래톱이 많이 사라졌어요. 어떤 아 이들이 있었는지 확인도 안 됐는데…."탐사 며칠 후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조 연구관을 다시 만났다. 현미경으로 옛새우를 관찰하며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자는 것(30분)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 학교의 점심시간은 제대로 잘 수 있는 환경인가. 아이들이 자유를 만끽하는 소리로 가득한 시간이 아니었던가. 자세는 어떤가. 점심을 먹고 난 직후, 책상에 엎드리면 위가 압박 되면서 속이 더부룩하고 계속 트림만 나온다. 운좋게 잠들었다고 하더라도 깊은 ... ...
- [life & tech] 술게임 과학적으로 놀아보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제까지 어깨춤만 출 것인가! 언제까지 ‘아이 앰 그라운드’만 외칠 건가! 이제 술게임도 과학적으로 즐겨보자. 재미없다고 놀림 받을 걱정은 That’s No No! 직접 체험해 본 기자의 생생한 후기가 꿀잼을 보장한다! 이 글만 읽는다면 당신은 이미 술게임계의만유인력이자 이중나선, Turn up~.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어렸을 때 양치기 소년이나 거짓말을 할 때마다 코가 늘어나는 피노키오 이야기를 들으며 겁에 질렸던 기억이 있다. 특히 피노키오는 거짓말 때문 ... 만들기 어렵다.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라고 했다. 우리가 만든 가치관과 교육 방식이 곧 아이들의 모습이 된다는 점을 중요하게 기억해두자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3%만이 10대가 돼서 친구를 사귀는 데 문제를 겪은 반면, 아빠와 목욕한 적이 없는 아이들의 30%가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요. 하워드 스틸 교수는 “10대들이 일으키는 여러 문제들이 어릴 적 아빠와의 신체 접촉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답니다.#후반전 시작 10분 만에 내가 역전골을 ...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원리를 파악해 뇌지도를 완성하는 국제 연구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시작된 아이와이어 게임에는 이미 세계 100여 개국 14만 명 이상이 참여해 쥐의 망막 신경을 3차원 지도로 그리고 있다. 게임 속에서 빈칸에 색을 칠하듯 신경세포를 잇는 부분에 색을 칠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신경세포의 ... ...
-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정도로 과한 경우 다양한 괴리감을 불러일으키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교사나 부모가 지나치게 칭찬하면 그 내용을 받아들여 기뻐하는 효과는 잘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교사나 부모가 주의 깊게 살피는 문제 학생으로 확인됐다고 생각하며, 더 의기소침해지는 경향이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