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비교"(으)로 총 2,9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은 입자의 질량은 ‘0’이어서 전자기력을 무한한 거리까지 전하기도 한다.그런데 물리학자들이 요즘 이상한 광자를 찾기 위해 나섰다. 질량도 있고 ... ...
- Part 2. 생각하는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기계가 생각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해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한다.”앨런 튜링이 1950년에 발표한 ‘계산하는 기계와 지성’이라는 유명한 논문은 이 문장으로 시작한다. 본격적으로 인공지능이라는 화두를 던진 것이다. 지성을 판단하는 척도로 잘 알려진 ‘튜링 테스트’ 또한 이 논문에 ...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허블우주망원경 (가시광선)이 찍은 지구에서 3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솜브레로은하의 모습. 거대한 팽대부 중심에 태양질량의 10억 배에 이르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 [찬드라X선망원경이 찍은 솜브레로은하의 X선 이미지. X선을 내는 뜨거운 가스가 있는 영역이 팽대부를 넘어 퍼져 있다.] 우 ...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자, 내기를 한 번 해볼까. 스무 개의 동전을 던져서 단 한 개라도 앞면이 나온다면 당신이 승리다. 단, 스무 개 중 모두 뒷면이 나온다면 당신은 패배하고 그 대가는 바로 당신의 목숨이다. 스무 개의 동전을 던져 모두 뒷면이 나올 확률은 약 100만 분의 1. 꽤 낮은 확률이지만 목숨을 걸어야 한다는 꺼 ...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제 뇌에 무슨 문제가 있나요?”“시상과 브로드만 영역 28번을 연결하는 48273번 신경회로, 해마와 섬엽을 연결하는 2982번 신경회로에 이상이 발견됐습니다. 요즘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환청이 들리지 않았나요?”“네, 맞아요. 이제 어떻게 하면 되죠?”“신경 연결성을 강화하는 유전자 치료를 받 ... ...
- 세계의 지하철 구조, 수학적으로 서로 비슷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지하철은 복잡한 도시 안에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다. 세계에서 최초로 지하철을 만든 곳은 영국 런던으로, 1863년에 약 6km 구간에서 증기기관차를 운영했다. 그 이후로도 파리, 베를린, 함부르크, 미국의 보스턴 등 세계 주요 도시에 지하철이 만들어졌다. 우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우리가 배우는 수학은 서양 수학의 오랜 전통에 따른 것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에서부터 시작된 수학이 전세계로 퍼졌다. 하지만 아시아에서도 유럽 수학과 별개로 고유의 전통을 가진 수학이 발전했다. 중국은 2500여 년 전부터 십진법을 사용했으며, 인도는 기원전 5000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여기서부터 소개할 두 개의 다중우주는 테그마크 교수가 분류한 4단계 분류에서는 2단계에 속하며, 비교적 새로운 다중우주 아이디어다. 모두 최신 끈이론과 관련이 있다. 특징 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다중우주이 우주는 기사에서 소개한 나머지 다섯 개의 다중우주와 전혀 다르다. 다른 다중우주들 ...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난 3월 프로야구에서 은퇴한 이종범 선수는 1994년, 타율 3할 9푼 3리를 기록해 4할에 근접했다. 하지만 4할은 넘지 못했다.] 야구에서 4할을 친다는 것은 전설적인 선수가 된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야구의 본가라고 하는 미국에서도 1941년 이후 4할 대 타자는 사라졌다. 우리나라는 프로야구 출범 ...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는 2011년 2월호에 위와 같은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마지막 중성미자 변환 상수를 찾는 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있던 우리나라의 중성미자 검출기 ‘레노(Reno)’를 다뤘다. 당시 거의 완공 직전에 있었던 레노는 2011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실험을 시작했고,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