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빗자루
비율
상심
슬픔
설움
애상
애도
d라이브러리
"
비
"(으)로 총 2,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 불 밝히는 ‘안개 가로등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안개도로 운전자 안전유도 시스템’을 개발했어요. 이 시스템은 안개가 끼었거나
비
가 내릴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거리(시정거리)를 측정해요. 적외선을 양쪽 에서 쏜 뒤 두 빛이 부딪혀 흩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거리를 잴 수 있어요. 안개가 심할수록 빛이 더 많이 흩어지거든요.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셋째 날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가르쳐 준 스쿠버다이빙!안재우(경북 경주고2)전 세이
비
아 스쿨 방문과 스쿠버다이빙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8~10m까지 잠수했는데, 귀가 너무 아팠어요. 하지만 제 평생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었어요. 아름다운 산호들이 밭을 이루고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오래 일어나야만 닥칠 수 있다. 오히려 이번 사태를 철저히 분석하면 만일의 사태에 대
비
한 과학적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도 있다.독성과 관련해 자주 이야기 되는 고도정수처리 공정은 기본적으로 활성탄 공정이다. 하지만 분말활성탄이 아니라 입자가 조금 더 굵은 입상활성탄을 쓰고(표면적이 ... ...
비
·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펜과 종이를 모세관으로 단순화시킨 뒤 이런 변수를 고려해 잉크가 나오는 과정을 수식(
비
례식)으로 만들었고 실제 모형을 만들어 측정한 데이터로 계수(기울기와 y절편)의 값을 구했다. 즉 펜의 모형은 유리모세관으로 안쪽 반지름이 0.25~1.00mm, 모세관의 두께는 0.1mm다. 한편 종이의 모형은 마이크로 ... ...
‘
비
사이로 막가’에 알맞은 공식이 있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주로 사람의 측면으로 내린다면, 같은 속도로 걸을 때 날씬한 사람보다 통통한 사람이
비
를 더 맞았다. 보치 교수는 “이럴 때 몸집이 큰 사람은 가능한 빨리 뛰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투수에 따라 매번 타순을 바꾸는 방식을 추구했다. 이런 많은 변화 속에서도 다른 팀에
비
해 효율적인 타순을 구사할 수 있었던 것은 김성근 감독이 추구한 데이터 야구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가장 중요한 웹페이지 찾는 마르코프 연쇄‘구글’의 검색 원리인 페이지랭크에도 마르코프 연쇄의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쓰인다. 구글 맵과 같은 온라인 지도 서
비
스에도 아직 메르카토르 도법을 활용한다.거센
비
판도 있었다. 메르카토르 도법이 서구 제국주의의 상징이라는 주장이었다. 메르카토르의 지도에서 유럽은 상대적으로 넓이가 커 보이며, 그들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는 실제 넓이보다 작게 ... ...
[정보] 통계, ‘왜?’라고 물으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병사들에게 명령했다.“제군들은 안심하고 이 강을 건너라! 제군들의 평균 키(1m 72cm)에
비
해 강의 평균 수심이 앝으니, 쉽게 건널 수 있을 것이다!”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병사들은 강을 건너다 모두 물에 빠지고 말았다. 왜 이런 일이 생긴 걸까?풀이강의 평균 수심은 강 모든 곳의 수심을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체온조절 능력은 사람이 한 수 위다. 사람은 말보다 작기 때문에 체중에 대한 표면적
비
가 더 크고(사람은 35~40kg에 피부 표면 1m2인 반면 말은 90~100kg에 피부 표면 1m2이다) 개처럼 숨을 헐떡거려서 열을 내보낼 수도 있다. 반면 말은 입으로 숨을 못 쉬고 코로만 쉬기 때문에 호흡으로 체온을 식히는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주변의 식수원은 오염이 심해질 것이다. 미래에도 화베이평원의 강수량이 현재와
비
슷하다면 지하수가 고갈돼 많은 중국인들이 먹을 물 찾기에 힘쓸 것이며, 아울러 이모작도 지속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경우에 미래 중국의 식량 사정은 지금보다 훨씬 나빠질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그 여파가 미치지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