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섬유에서 시작하는 패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PCM)을 이용한 자동 온도조절섬유다. PCM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발명한 소재인데, 물질이 얼고 녹을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흡입과 방출 원리를 응용했다. 즉 물이 0℃를 경계로 열을 방출해 어는점에 가까워지거나 열을 흡수해 액체가 되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이 소재는 체온(약 36.5℃)과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역사에서 ‘절반의 성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도 나로호 발사 실패 직후 홈페이지에 나로호 발사 실패를 명시했다. ‘성공’ 아니면 ‘실패’뿐이다. 문제는 우주발사체를 독자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패를 실패로 냉정히 평가하고 바닥부터 차분히 기초를 다지는 연구문화와 ... ...
화성 생명체 살았던 물 흔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주장을 뒷받침하는 ‘물증’이 발견됐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존슨우주센터 리처드 모리스 박사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스티븐 러프 교수 연구팀은 화성 탐사 로봇‘스피릿’이 보내온 자료를 토대로 일부 지역에서 탄산염을 발견했다고‘사이언스’ 6월 4일자에 발표했다.산성도(pH)가 중성인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행성에서 생명체도 탄생할 수 있다. 최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적외선으로 원시별을 관측한 결과, 원시별 주변 원반에 생명체와 관련 있는 다양한 유기분자와 물 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직까지 별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조경철 박사님은
미국
에서 천문학을 공부한 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최고연구원 등으로 활약 하셨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천문학이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져 있다는 점을 안타까워해, 1968년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 오셨지요. 이후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한편 한국천문학회장을 맡으시는 등, 우리나라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우주인 훈련을 체험해 볼 차례야. 우리는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에서 공인한 챌린저 러닝센터에서 모의 우주 비행사 훈련을 받고, 우주복과 우주선에 붙이는 ‘미션 패치’도 만들어 보았어.우주 임무1챌린저 러닝센터 체험!챌린저 러닝센터는 우주비행사들이 받는 훈련을 체험해 볼 수 있게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는 우주정거장과 지구 표면을 연결할 재료는?
미국항공우주국
은 오는 2018년을 목표로 짓고 있는 우 주엘리베이터의 케이블 재료로 탄소나노튜브를 선택했다. 나노크기의 탄소가 실처럼 짜여진 탄소나노튜브는 강철보다 100배 더 단단하고 충격에도 잘 견딘다. 또 원래 형태에서 15%까지 변해도 ... ...
반짝반짝, 적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은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아름다운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이에요. 나사(
미국항공우주국
)는 지난 14일에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WISE : Wide Field InfraredSurvey Explorer)을 우주로 보냈어요. 이번에 공개된 안드로메다 은하 사진은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이 처음으로 찍은 사진이랍니다. 파란색 별은 성숙한 별이고, 노란색과 빨간색은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존재하고 기상현상이 발생한다. 2008년 2월 13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타이탄에 원유의 주성분인 탄화수소가 지구 전체 석유와 가스 저장량의 수백 배 규모로 존재한다고 밝힌 바도 있다.타이탄 외에도 토성의 여러 위성들의 이름은 12명의 타이탄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토성의 영어식 이름인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 한국인으로는 첫 연구원이 됐다. 이후 메릴랜드대 교수 등을 거쳐 1969년부터 연세대에서 교편을 잡았다. 몇 년 전 재미과학자인 신재원 박사가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NASA 국장보급인
항공
연구부문 총책임자에 오르면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