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게"(으)로 총 2,8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전 질량과 위치를 역으로 추적했다.추적 결과 중심별에서 1.0AU 거리에 있던, 목성의 3.2배 무게의 행성 V391 Peg b는 폭발 이후 중심별로부터 거리가 1.7AU로 더 멀어졌다. 태양계로 치면 태양이 폭발한 이후에 지구의 위치가 현재보다 더 뒤로 밀려났다는 뜻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중심별이 폭발한 뒤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LG디스플레이가 선보인 18인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0.177mm 밖에 되지 않아요. 무게도 A4용지 2~3장 정도고요.3D 잠시만, 잠시만요. 제가 들은 건 다릅니다. OLED, OLED 하시는데, OLED는 수분에 매우 취약하지 않습니까? 아니 구부러지면 뭐합니까. 화면이 깨지면 말짱 도루묵인 것을요. 우리가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우리 피부 세포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최대 크기는 500Da(달톤, 1달톤은 수소 원자 1개의 무게로 단백질의 크기를 표현할 때 이용됨.)정도다. 6.2kDa인 EGF는 피부를 통과하기엔 턱없이 큰 물질이다. 심동섭 이노진 대표이사는 “각질층을 통과한다는 건 불가능하다”며 “각질층으로 단백질 같은 큰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들어갈 수록 움직임이 줄어든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인공섬을 세로로 길게 만들고, 무게 중심을 아래쪽에 두기로 한 거예요. 바다 밑은 파도가 없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아요. 아래가 고정되면 당연히 윗부분도 움직이지 않지요.또, 작은 인공섬을 여러 개 연결하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어요. 한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중량 1만8000t, 길이 154m으로 세월호와 비슷하다(인양 전에 앞부분을 일부 잘라내서 무게와 길이가 줄긴 했다). 침몰한 곳의 수심이 108m로 깊고, 조류가 초속 1.25m로 빠른 점도 세월호가 처한 상황과 비슷하다.당시 스미트는 크레인을 쓰지 않았다. 대신 길이가 140m에 이르는 대형 바지선(➋)에 도르래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거리- 즉 ‘낙타일(日)’로 먼 거리를 가늠했고, 낙타가 한번에 실을 수 있는 중량으로 무게를 가늠했다. 그들은 낙타의 고기를 먹고 낙타의 가죽으로 만든 텐트에서 잤으며, 낙타의 똥을 땔감으로 사용했다. 심지어 낙타의 오줌으로 머리를 감기도 했다. 척박한 사막에서 살아온 아랍인의 역사는, ...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7호
- GMT)이 본격적인 제작에 들어갔다. 지름이 8.4m, 무게가 17t인 거대한 반사경 7장을 벌집 모양으로 연결해 만든 GMT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HST)보다 10배나 선명한 영상을 얻어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6월 3일 GMT의 최종 설계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2024년 정상 가동을 목표로 건설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반도체를 만들듯이 규소 원자가 빈틈없이 규 칙적으로 배열된 공을 만들고, 이 중 무게가 조금 다른 동위원소는 원심분리 기술을 이용해 제거한다.두 번째는 꽤 어렵다. 와트저울이라는 것을 사용하 는데 간단히 말하면 어떤 물체의 중력과 그 물체를 둘 러싼 전자기력을 똑같게 한 뒤 이 과정에서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새로운 기술은 없을까?유리가 무거워? 새로운 소재를 찾아!유리로 만든 반사경은 자신의 무게 때문에 휘기 쉽고, 우주로 보내기도 어려워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크고 얇고 가벼운 반사경을 만들기 위해 고심하고 있지요. 그 중 하나가 1995년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액체거울 망원경’이에요.액체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전환은 아직 어렵다. 크랩스터는 부력 탓에 수중 무게가 200kg으로 줄어드는데, 헤엄칠 때는 이의 4분의 1인 50kg 이하로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는 크랩스터를 진수하기 전 사람 손으로 부력재를 붙인다. 그러나 수중 모드 전환은 시간 문제다. 전봉환 실장은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