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아이디얼’, ‘대수곡선’ 등을 수 몇 개로 나타내려고 해요. 그런데 루빅스 큐브의 꼭짓점에 수를 하나씩 대응한 뒤 세 가지 방법으로 큐브를 잘라 그 수를 배열했더니 뭔가 재밌는 일들이 일어난 거죠. 가우스 이후 200년 동안이나 수학자 누구도 새로운 연산법칙이 있다고 생각 못 했는데,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시초인데 19세기부터는 악기 반주가 없는 곡 대부분은 아카펠라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꼭 성악이 아니더라도 무반주, 또는 최소한의 악기 반주로 화음을 이뤄 노래하는 합창, 대중보컬 음악까지 아카펠라라고 부르게 됐지요. 디즈니 아카펠라 그룹 디카펠라도 현대적 의미에서 아카펠라 그룹인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더 재밌는 연재로 찾아올게요! 바둑판과 바둑알로 꼭 바둑만 둘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규칙을 조금 바꾸면 오목도 둘 수 있고 알까기도 할 수 있지요. 오늘 소개할 ‘n-퀸즈 게임’은 체스의 규칙을 바꿔 만든 게임이에요.체스는 체스판 위에서 폰과 룩, 비숍, 나이트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기록해야 합니다. 연구의 씨앗을 찾는 과정이죠.관심사, 잘하는 것, 호기심이 가는 것, 꼭 해보고 싶었던 것 등을 생각해보고 적어 보세요. 사소한 것이라도 좋습니다. R&E는 어느 정도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나 궁금한 주제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준비운동은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양옆에 다른 사람 앉을 수 있을까?그런데 자기 자리를 찾고 나면 불평하는 수학자가 꼭 있습니다. 점심에 이 사람 옆에 앉아서 밥을 먹었는데 저녁에도 또 같이 먹게 됐다며 냅킨을 좀 더 잘 섞어서 놓을 수 없냐고 투정을 부립니다. 1967년 이곳을 찾은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링겔 역시 같은 불만을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잠수사가 호흡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처럼 부력에 대한 이해와 감각은 잠수에 꼭 필요한 기술이다. [잠수의 기술 2] 반비례로 이해하는 호흡 때로는 깊이 잠수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한다. 배가 침몰한 상황이 한 예다. 깊은 물속에서는 지상과 다르게 행동해야 한다. 수심에 따라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한국은 석탑의 나라불탑은 고대 인도의 석가모니 사리를 모신 스투파(stupa)에서 기원했다. 한국을 포함해 동아시아에서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불탑 건립이 활발히 이뤄 ... ‘정성’에, ‘추정’보다는 ‘사실’에 무게를 둔 이 시대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꼭 기억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일어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강력한 지진이 일어나면 어떤 건물이든 위험하다. 그런데 꼭 강한 지진만 위험한 건 아니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정말 위험한 경우는 ‘공진’ 현상이 일어났을 때다. 지진 대비하려면 ‘대칭’이 안정적공진이란 어떤 물체가 흔들리고 있는 고유 주기와 지진 같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많은 학생들이 ‘동아리에 잘 들어가면 1년이 행복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만큼 동아리 활동 시간은 학생들이 학교안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시 ... 그리고 그 중에서도 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는 핵심활동이라는 것을 꼭 기억하기 바랍니다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견학하고 갈 만큼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췄다”고 말했다. 물론 한계는 있다. 우선 유해가 꼭 해당 지역의 음식만 섭취했으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한국전쟁 당시만 해도 선조들은 산지에서 나는 음식을 주로 먹었지만, 흉년이 들면 유랑거식을 하며 식량을 해결했다. 또 해초의 경우 동위원소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